영양밥 (밥)

목차
관련 정보
식생활
음식·약
1~2인용 작은 솥에 쌀과 은행, 잣, 대추, 콩, 밤 등 견과류, 버섯, 인삼, 나물 등 채소, 전복, 홍합 등 해산물과 같이 영양가 있는 재료를 함께 넣어 지은 별미밥.
이칭
이칭
영양돌솥밥, 영양솥밥
음식·약/음식
재료
쌀|은행|잣|대추|밤|버섯|인삼|나물|전복|홍합|쇠고기
내용 요약

영양밥은 1~2인용 작은 솥에 쌀과 은행, 잣, 대추, 콩, 밤 등 견과류, 버섯, 인삼, 나물 등 채소, 전복, 홍합 등 해산물과 같이 영양가 있는 재료를 함께 넣어 지은 별미밥이다. 조선시대 문헌인 『규합총서(閨閤叢書)』에 오곡밥과 돌솥에 관한 기록이 있고,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에는 옥정반, 저반, 죽실반 등이 기록되어 있다. 산업화 이후 작은 곱돌과 무쇠솥이 개발되어 보편화되면서 영양가 있는 다양한 식재료를 함께 넣어 지은 밥을 영양밥이라 부르게 되었다.

정의
1~2인용 작은 솥에 쌀과 은행, 잣, 대추, 콩, 밤 등 견과류, 버섯, 인삼, 나물 등 채소, 전복, 홍합 등 해산물과 같이 영양가 있는 재료를 함께 넣어 지은 별미밥.
연원 및 변천

영양밥의 근원은 오곡밥이라 할 수 있다. 1809년(순조 9) 빙허각이씨(憑虛閣李氏)가 엮은 『규합총서(閨閤叢書)』에서는 “오곡밥은 찹쌀, 찰수수, 왼팥 각 두 되, 차조 한 되, 좋은 불콩 주5, 왼대추 한 되를 섞어 밥 지으면 달고 향긋하다. 많이 지으려면 마음대로 요량하여 지어라.”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 “밥과 죽 주6이 으뜸이오, 지탕관이 그 다음이다.”고 하여 예부터 돌솥으로 한 밥맛을 최고로 여겼다. 1835년(헌종 1)경 서유구(徐有榘)가 지은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에도 연근과 연실로 지은 주2, 고구마를 썰어 말렸다가 빻아서 쌀과 함께 밥을 짓는 저반(藷飯), 주3, 밤가루, 곶감을 넣고 지은 밥인 죽실반(竹實飯) 등의 기록이 있다. 1948년 손정규가 지은 『우리음식』에도 감자밥, 연어밥, 굴밥, 팥밥, 조밥, 보리밥, 콩나물밥, 무밥과 함께 오곡밥이 기록되어 있다.

우리 민족은 삼국시대부터 무쇠솥으로 잡곡밥을 지어 먹기 시작하였다. 산업화 이후 갓 지은 뜨거운 밥과 구수한 숭늉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1~2인용 작은 주4과 무쇠솥이 개발되면서 곡식 이외 견과류, 채소류, 해산물 등 영양가 있는 다양한 식재료를 함께 넣어 지은 밥이 발달하게 되었다. 이것이 영양밥이라 통용되었고, 그 종류는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조리법

영양밥은 멥쌀과 찹쌀을 씻어서 물에 30분 정도 담갔다가 체에 받쳐 물기를 뺀 후 솥에 앉히고 인삼, 대추, 밤, 은행 등의 부재료를 쌀 위에 넣고 물을 맞춰 밥을 짓는다. 영양밥의 가장 보편적인 부재료는 은행, 잣, 밤, 대추와 같은 견과류이다. 영양밥은 인삼, 우엉, 버섯, 단호박 등 채소류, 전복, 홍합 등 해산물과 쇠고기 등을 취향대로 넣어 밥을 짓는다. 그리고 간장, 고춧가루, 다진 파, 마늘, 깨소금, 참기름을 넣고 양념장을 만들어 다 된 밥과 비벼 먹는다.

영양밥은 곱돌솥에 지어야 제 맛인데 곱돌솥 형태는 둥근 냄비 모양이며, 크기는 대개 1∼2인용 밥을 지을 수 있는 작은 것이다. 곱돌솥에 밥을 지으면 뜸이 고르게 들고 타지 않으며, 밥이 쉽게 식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다.

참고문헌

원전

『규합총서(閨閤叢書)』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단행본

정양완 편역, 『규합총서』(보진재, 2008)
이효지 외, 『임원십육지』(교문사, 2007)
손정규, 『우리음식』(삼중당, 1948)

인터넷 자료

두산백과(www.doopedia.co.kr)
주석
주2

멥쌀이 끓을 때에 연뿌리와 연밥을 넣어서 지은 밥. 우리말샘

주3

대나무 열매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강장제로 쓴다. 우리말샘

주4

기름 같은 광택이 있고 만지면 양초처럼 매끈매끈한 암석과 광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치밀한 비결정질로서 내화물이나 도자기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5

다섯 홉. 반 되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6

돌로 만든 솥.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