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면지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물품
조선 후기에, 왕실 및 관청에 납입하거나 중국에 보낸 예폐 물품에 포함된 희고 견고한 종이.
이칭
이칭
백추지(白硾紙), 백면지(白面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백면지(白綿紙)는 조선 후기 이후부터 사용하였던 종이의 명칭이다. 백면지는 이전에 방물지(方物紙)로 사용되었던 종이들을 대체한 종이로, 고급지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방물지가 백면지로 대체되었다. 중국이나 왕실, 혹은 관청에 납입되는 종이의 품질을 낮춰, 일반적으로 다양하게 쓸 수 있는 백면지의 품질로 조정하게 됨에 따라 백면지는 조선 후기 전체 종이 생산량이나 종이 품질 측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키워드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왕실 및 관청에 납입하거나 중국에 보낸 예폐 물품에 포함된 희고 견고한 종이.
내용

백면지(白綿紙)는 조선 후기 이후부터 사용하였던 종이의 명칭이다. 정조(正祖)의 일기 『일성록(日省錄)』(1777년 10월 24일)에 따르면 당시 이조참의로 있던 정민시(鄭民始)가 방물로 거둬들이는 백면지 중 품질이 떨어지는 종이가 섞여 있다고 정조에게 보고하자, 정조가 백면지를 세심하게 가려 봉과(封裹)하라는 명을 내렸다. 당시 백면지를 지칭하는 용어로 정민시는 백면지(白面紙)라 하고 정조는 백면지(白綿紙)라고 한 것을 보면 둘 다 같이 통용되던 동일한 용어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에 사물을 각 항목별로 정리한 『광재물보(廣才物譜)』에 의하면, 백추지(白硾紙)는 백면지(白面紙)이며 고려에서 난다고 기록된 바 있으며, 『양매시화(楊梅詩話)』에는 백추지는 매끄럽고 하얀 종이이며, 매우 견고하고 지면이 매끄럽다고 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백면지는 견고하고 질기며 종이 표면이 매끄럽고 하얀 종이였음을 알 수 있다.

백면지의 생산지는 전라도 등지와 충청도 충주목이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충주목 특산품 중의 하나로 백면지를 기록하였고, 『조선왕조실록』에는 백면지가 전라도 백성들의 요역으로 무겁다는 내용이 자주 등장한다.

백면지는 우리나라 왕실 및 관청과 중국에 정기적으로 납입되었다. 평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상용지(常用紙)가 아니었고 보통 이상의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특히 예폐(禮幣)와 부의지(賻儀紙)로 중국에 보내졌으며, 이러한 용도로 사용된 것이 전체 생산량 중 가장 많은 비율을 보였다. 황제의 생일인 성절(聖節)의 하례 방물(方物), 금나라에 보내는 예폐 · 세폐에 반드시 포함된 물품이었다. 중국으로 보내졌던 용도 이외에도 1년에 2번 어전, 왕비전, 대비전 등에도 백면지가 사용되었으며, 세자궁이 강독 후 상격(賞格)으로 내리는 지물(紙物)로도 사용되었다. 또한 왕실과 각 관청에서도 의궤 제작 및 각 문서류 작성 등의 용도로 백면지가 사용되었으며, 『경세유표(經世遺表)』시권(試券)의 종이를 백면지를 사용하였다는 내용이 있어 한때 과거시험용 종이로도 백면지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광재물보(廣才物譜)』
『경세유표(經世遺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양매시화(楊梅詩話)』
『일성록(日省錄)』
『조선왕조실록』
『탁지준절(度支準折)』
『천공개물(天工開物)』

논문

정선영, 「백면지에 관한 연구」(『서지학연구』 41, 한국서지학회, 200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