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진흥확대회의(技術振興擴大會議)의 목적은 첫째, 제5공화국의 기술드라이브정책 의지를 구현하고 둘째, 1980년대 범국가적 기술 개발 체제를 확립하며 셋째, 기술 개발의 장애 요인을 제거하여 기술혁신(技術革新)을 위한 추진력을 결집하는 것이었다.
1982년 1월 제1회 기술진흥확대회의를 시작으로 1983년까지는 연 3회 개최되다가 1984년부터 1985년까지는 연 2회로 축소되었고, 1986년과 1987년에는 한 차례 개최된 후 폐지되었다. 이후 1989년 6월 ‘과학기술진흥회의(科學技術振興會議)’로 개칭하여 다시 시작되었지만, 1992년 7월 제5회 회의를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
기술진흥확대회의는 기술드라이브정책과 유사하게 수출진흥확대회의(輸出振興擴大會議)에서 비롯되었다. 수출진흥확대회의가 수출진흥위원회 규정에 의거하여 진행된 데 반해 기술진흥확대회의는 법적 근거가 없었다.
기술진흥확대회의는 대통령을 비롯해 행정부의 전 각료와 산업계, 학계, 과학기술계의 대표가 참여하였다. 회의의 주요 내용은 안건 보고, 국내·외 과학기술 동향 주요 보고 항목, 기술 성공 사례 선정 기준 및 절차 등이었다. 이중 안건 보고는 기술혁신 관련 주요 정책, 기술개발 계획, 주요 사업 추진 현황 및 대책, 주요 외국의 정책 분석 보고 등을 주제로 과학기술처(科學技術處), 관계 부처, 민간 산업계, 단체 등이 담당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 선도 과제 선정을 비롯해 기술력 향상, 산업 생산성 향상 등 국가 과학기술정책(科學技術政策)의 방향은 물론 연구 인력, 세제(稅制), 자금, 기술 정보, 발명 특허, 표준 및 규격, 공정거래 문제 등 기술 개발에 직결되는 과제들에 대한 해결 방안 등 과학기술 정책의 주요 현안 사업이 결정되었다.
기술진흥확대회의는 제5공화국이 추진하였던 기술드라이브정책 추진의 구심체라 할 수 있다. 기술진흥확대회의에서 논의된 정책들은 상당수가 제도와 시책에 반영되어 연구 개발비의 급속한 증가, 민간 연구소의 폭발적 증가, 영재 교육 과정의 신설, 연구 중심 대학원 운영 등 다양한 과학기술 진흥의 성과로 이어져 1980년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명칭부터 회의 내용까지 기술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과학의 단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관료 조직에서 건의된 정책을 추인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고, 이벤트성 행사에 불과하였다는 비판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