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구과학관 ()

과학기술
단체
2013년, 대구광역시에 설립된 과학관.
이칭
이칭
사이언스 트리(Science Tree)
단체
설립 시기
2013년
설립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구광역시
설립지
대구광역시
상위 단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재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국립대구과학관은 2013년 대구광역시에 설립된 과학관이다. 과학 기술 자료를 수집, 조사, 연구하여 이를 보존 및 전시하고, 과학 기술 문화를 확산하며 청소년의 학교 밖 과학 교육을 담당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타 공공기관이다. 섬유 산업 등 지역의 산업과 과학 기술의 연계를 주제로 선정하였다. 별칭은 사이언스 트리(Science Tree)로 인간의 무한한 사고와 탐구를 바탕으로 생각이 자라나는 나무를 상징한다. 대표 전시물로는 프랑스 물리학자 버나드 지통이 디자인한 물시계, 디지털 기술로 재현한 성덕대왕신종이 있다.

정의
2013년, 대구광역시에 설립된 과학관.
설립 목적

국립대구과학관(國立大邱科學館)은 영남권 지역의 과학기술 자료를 수집 · 조사 · 연구하고 전시와 과학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과학 기술 문화를 창달하고 청소년의 과학에 대한 탐구심을 함양하기 위해 2013년에 설립되었다.

변천 및 현황

국립대구과학관은 건립비 1,144억원(국비 805억원 + 시비 339억원)을 들여 2013년에 개관하였다. 대지 면적은 117,174㎡이고, 건축 연면적은 34,852㎡(전시 면적 13,135㎡)이다.

전시 주제는 과학과 산업이다. 전시관은 환경 누리, 자연재해, 환경 재난을 다룬 ‘자연과 발견’(상설전시 1관), 에너지 누리와 산업 속 과학기술을 다룬 ‘과학기술과 산업’(상설전시 2관)으로 구분되어 있다. 기타 시설로는 천지인학당, 천문대, 천체투영관, 4D영상관, 과학마당이 있다.

2015년에 기타 공공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16년에 국립대구과학관 후원회가 설립되었다.

2020년에 공동 직장 어린이집을 개원하였다.

2021년에 창의 놀이터, 미래 세상, 유아 놀이터 등의 꿈나무 과학관(어린이 과학관, 자동차 전용관)을 개관하였다.

2022년에 생명, 공존, 바다를 다룬 ‘생명의 진화관’(상설전시 3관)을 개관하였다.

2023년에 자격루와 함께 시간을 측정하고 공유하는 과학기술의 발전사를 다룬 ‘과학기술문명사관’(상설전시 4관)을 개관하였다.

주요 활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전시물 연계 교육(14종) 및 교과 연계 교육(6종)을 운영하고 있고, 찾아가는 초중등 교육(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발명, 3D 프린터, 아두이노 등 메이커 탐구 교육 프로그램(11종)을 운영하고 있다. 연 2~3회 시기별 주제에 맞는 특별 전시회 기획(우리 그림, 우리 생물 등)을 추진하고 있다. 과학 숙박형 캠프를 운영하고 있고, 국립 과학관과 공동 특별전(2021년- Hello Robot)을 운영하고 있다. 로봇, ICT, SW 교육 등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7종)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와 아울러 우주, 바이오 분야를 다룬 과학 특강을 실시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대구광역시, 경상남북도를 아우르는 영남권 과학관으로서 지역의 과학 문화 확산과 청소년 학교 밖 과학 교육의 거점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천체투영관 및 교육 숙박동 시설이 개관 때부터 구비되어 천체 관측 등의 프로그램을 가장 먼저 운영하였다. 성인 대상 과학 프로그램인 ‘시민과학교육원(市民科學敎育院)’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과학 기술이 모든 이를 위한 필수적인 지식과 정보가 된 현 상황에서 보다 많은 청년 및 성인 관람객을 확보하는 일은 지속적인 과제라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인터넷 자료

국립과학관, 「일반개요: 알리오 공시」(www.alio.go.kr/)
국립대구과학관(https://www.dnsm.or.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