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감은사지(慶州 感恩寺址)
동탑은 1995년 해체∙보수되었는데 서탑에서 발견된 것과 마찬가지로 사천왕상이 그려진 외함과 내함, 사리기, 사리병 등을 갖춘 사리장엄구가 온전한 모습으로 발견되었다. 경주 감은사지는 남쪽에서부터 중문(中門), 쌍탑(雙塔), 금당(金堂), 강당(講堂) 순으로 배열된 통일신라시대 사찰의 전형적인 쌍탑식 가람(雙塔式伽藍)이다. 남쪽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문지가 있고, 이 중문 좌우로 후면의 강당지에 이르기까지 회랑으로 이어져 있었다. 중문은 지대석, 면석, 갑석을 갖춘 가구식(架構式)의 기단 위에 세워진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이다. 정면의 각 칸마다 2짝 출입문을 달았고, 문과 연결되는 계단이 3칸의 전후면에 모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금당은 정연하게 쌓아올린 2중 기단 위에 세워졌으며, 정면 5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