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오광대(金海五廣大)
김해오광대는 경상남도 김해시에서 19세기 말부터 전승되는 가면극이다. 김해시 한림면 등지에서 전승되다 멸실 위기에 놓인 것을 1983년경부터 복원을 시작하여 현재는 김해시 전체에서 전승을 이어간다. 2015년에 경상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낙동강가에 위치한 마을에 어느 날 궤 하나가 떠내려 왔다. 그 궤 안에 김해오광대 대본과 탈이 실려 있었고, 그 후부터 김해오광대를 놀게 되었다고 한다. 전체 구성은 제1과장(중 마당), 제2과장(노름꾼 마당), 제3과장(양반 마당), 제4과장(영노 마당), 제5과장(할미 · 영감 마당), 제6과장(사자무 마당) 등이고, 등장인물은 노름꾼 1, 노름꾼 2, 노름꾼 3, 노름꾼 4, 주색탈, 무시르미(인형), 포졸, 어딩이, 종가 양반, 모양반, 애기 양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