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천리 인근 금원산 기슭에 있었던 강남사(江南寺)의 터에서 옮겨왔다고 전하는 석불입상이다. 주형광배(舟形光背)와 함께 하나의 돌로 조각된 불상으로 양어깨를 모두 가사로 감싼 통견(通肩)의 착의에 시무외(施無畏)와 여원인(與願印)을 결하고 있다.
거창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은 전반적으로 얕은 부조로 조각되어 있다. 얼굴은 마모가 심하여 세부적인 표현이 보이지 않지만, 반달 모양으로 높이 솟은 육계와 함께 전체적으로 계란형의 동그란 윤곽선이 또렷하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남아 있다. 통견의 가사는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어깨로 ‘U’자형으로 넘어가는 옷 주름이 보이며, 그 틈으로 가슴이 약간 노출되어 있다. 이 옷 주름 아래로는 ‘U’자형 주름이 반복적으로 발끝까지 흘러내리고 있다. 비록 몸을 덮고 있지만, 가슴 부분과 다리 부분은 옷 주름의 간격이 비교적 좁고 복부 부분은 넓게 표현되어 있어 인체의 양감을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오른손은 오른쪽 가슴 앞으로 들어 시무외인을 결한 것으로 보이고, 왼손은 허리 정도 높이로 내려서 여원인을 결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손의 모습은 마모가 심해 정확히 파악되지는 않는다. 여원인을 결한 왼팔은 팔굽 부분을 굽혀서 늘어뜨리고 있는데 이로 인해 허리는 더욱 잘록하게 들어간 것처럼 보이며, 왼팔은 자연스럽게 앞으로 내민 것처럼 보여서 비록 얕은 부조이지만 간접적으로 양감을 드러내는 기법이 회화적이면서도 능숙하다. 시무외인을 결한 오른팔을 덮고 있는 옷자락도 허리의 굴곡에 따라 곡선을 이루고 있는데, 이 역시 인체를 직접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표면에 흐르는 옷 주름으로 양감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두 발은 잘 보이지 않는데, 가사 자락이 발을 완전히 덮은 것인지, 아니면 표현되었으나 하체의 양 끝 석재가 떨어져 나가 안 보이는 것인지 분명치 않다. 다만 대좌와 가사 끝단 사이에 보이는 부분이 있는데, 두 발을 옆에서 본 모습으로 표현한 흔적이 아닌가 한다. 대좌는 연꽃이 위로 향한 앙련좌(仰蓮座)로 이중으로 겹쳐진 연잎의 유려한 곡선이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의 도상은 통일신라시대 이래의 시무외·여원인 불입상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U’자형이 반복되며 흘러내리는 옷자락은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된 경주 남산 왕정골 출토 통일신라의 석불입상에서도 보이는데, 아육왕상의 착의법이라는 인도 불상의 형식을 계승한 것이다. 이러한 착의법을 갖춘 불상은 삼국시대에 제작된 금동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수인(手印) 역시 삼국시대 마애불의 특징인 시무외·여원인을 결하고 있는데 전반적으로 복고적인 형태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옷자락의 간격을 섬세하게 조절해 그 아래에 있는 인체의 양감을 표현하고 있고, 오른팔 팔뚝에서 흘러내린 옷자락이 넓게 펼쳐 허리를 덮고 있으며, 왼쪽 팔굽을 구부려 허리춤에 가깝게 붙이고 있는데, 이는 불상 조각에 있어서 회화적 특성을 보다 많이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표현은 고려시대 작품인 북한산 삼천사 마애여래입상과 유사하다. 따라서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불상은 원래 네 개의 조각으로 분리·파손되어 있었으나 1992년 향토문화유적 보수사업에 따라 접합·복원되었다. 현재는 보호각을 마련해 봉안하고 있다. 광배 뒷면은 별다른 표현 없이 거칠게 마감하였다.
인도 불상의 착의법을 계승하고 있고 전통적인 수인을 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복고적 성격을 갖고 있으며, 불상의 신체가 마치 회화를 조각으로 옮겨놓은 것처럼 평면적으로 표현되는 고려시대 석불조각의 특징이 보인다. 전통에 충실한 복고적인 불상이라는 점에서는 석굴암 본존상의 도상이 그대로 재현된 서울 북한산 구기동 마애여래좌상(보물, 1963년 지정)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