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강상인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개념
조선 후기, 한강 일대에서 세곡 운수업 및 각종 상업 활동에 종사했던 상인.
이칭
약칭
강상(江商)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경강상인은 지방의 조세곡 및 각종 물류를 운반해 주고 선가(船價)를 받아 이윤을 추구한 상인층을 일컫는다. 조선 후기 대동법의 시행으로 물류 유통이 확대되는 가운데 관영 조운선만으로 세곡 운송이 어려워지자. 정부에서는 경강상인의 사선(私船) 임운을 활용해 세곡 운송량을 늘렸다. 정조 대에는 작대제를 시행해 이들의 영업권을 보장하였다. 이에 경강상인은 어물, 목재 등의 유통망까지 장악해 이윤을 추구하는 한편, 일반 수요자들에게 물품을 판매하고, 시전 상인들과 결탁해 도고 사업을 전개함으로써 사상 도고로 성장해갔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한강 일대에서 세곡 운수업 및 각종 상업 활동에 종사했던 상인.
내용

조선시대 서울을 지나는 한강을 경강(京江)이라 일컬었으며, 마포, 서강, 용산, 두모포, 뚝섬 한강의 주요 나루를 거점으로 지방의 조세곡과 양반층의 소작료를 운송해 선가를 받아 이윤을 남기던 상인을 경강상인이라 한다. 약칭해 강상(江商)이라고 했다.

경강은 조선 초부터 정부 관서의 경비 물자와 도성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각종 산물이 운반, 집적되던 곳이었다. 따라서 이곳은 15세기 초부터 상인들이 집결해 하나의 경제권역을 형성했다. 경강상인이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지방의 세곡 운송을 대행하면서부터였다.

조선 전기 중앙 정부는 관선조운제(官船漕運制)를 시행해 지방의 세곡을 조운로를 활용해 서울로 수송했지만, 해로에 익숙하지 않은 조운선의 난파 사고와 고된 조군역을 기피하는 현상으로 인해 조선 초기부터 사선(私船) 임운(賃運)을 세곡 운송에 일부 활용하기 시작했다.

임진왜란 이후 대동법을 확대 시행함에 따라 사선에 의한 삼남지방의 세곡 운송이 2배로 늘어나게 되었다. 실제로 전세곡은 함경도와 평안도를 제외한 6도 269읍 중 136개 읍이, 대동미는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도 245읍 중 113개 읍이 사선을 통해 운송되었다.

18세기 초 경강선(京江船)의 수는 300여 척에 달했으며, 1,000여 석을 실을 수 있는 선박에서 2,000여 석을 실을 수 있는 대형 선박까지 적재량도 전반적으로 늘어났다. 경강선인들은 연안 항해술과 조선 기술을 발전시켜 사선 임운의 영업권을 확대하고 이윤을 늘리고자 했으며, 이 과정에서 조세곡을 중간 수탈하기 위한 부정 행위를 저지르기도 했다. 운반곡에 일정량의 물을 타서 곡물을 불려 그만한 양을 횡령하는 ‘화수(和水)’, 운반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착복하는 ‘투식(偸食)’, 선박을 고의로 침몰시키는 ‘고패(故敗)’ 등은 경강상인들이 자행하는 대표적인 부정 행위들이었다.

영조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육로를 통해 상납하는 포목, 동전량을 늘려 사선 임운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했으나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는 못했다. 정조는 1785년(정조 9) 작대사목(作隊事目)을 반포해 경강상인들이 작대를 이루어 호송함으로써 침몰 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는 한편, 사고가 일어날 경우 자대에서 책임지도록 하고 상호 견제 하에 농간을 막도록 했다. 작대사목에 근거해 경강상인들의 영업권을 보장하는 대신, 능행으로 한강에 배다리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선박을 효율적으로 동원하고, 주교사(舟橋司)에서 이들을 관리하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경강상인들은 조선 후기 사선 임운을 통한 조세곡의 상납으로 큰 수익을 얻었으며, 정조 대 작대제 시행 이후로 배다리에 동원되는 대신 세곡 운송권과 한강 영업권을 보장받는 등 영리 활동을 활발히 전개해 갔다.

그러나 경강상인들의 영업 활동이 조세곡의 운송에만 한정되지는 않았다. 곡물뿐 아니라 어염(魚鹽) · 목재류 · 얼음 등 상품을 한강의 주요 나루로 수송해 도성으로 유통하는 매개 역할을 했다. 이 과정에서 경강상인이 경유하는 조창 인근의 포구를 거점으로 상업 유통이 활성화되었으며, 경강선이 정박하는 마포, 서강, 용산, 두모포, 뚝섬 등 주요 나루터를 중심으로 물류를 보관, 운송, 위탁 판매 하는 창 주인, 세곡 주인, 여객 주인과 같은 각종 주인층과 거간꾼들이 새로운 상인층으로 등장했다. 그뿐만 아니라 한강변에 미곡, 어물, 목재 등을 판매하는 시전이 설치되어 도성 안에서 정부 조달의 전매권을 가지고 있던 시전들과 상권 경쟁을 펼치게 되었다.

경강상인 역시 한편으로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받아 외방 포구와 한강변의 상업 유통망 속에서 점차 사상 도고(私商都賈)로 성장해 갔다. 어물, 목재 등을 외방에서 구입해 온 물품을 경강상인들은 처음에는 시전 상인에게만 전매해야 했기 때문에, 시전 상인들이 헐값에 강매를 요구할 경우 제대로 항의하지 못하고 손해 보는 사례들이 발생했다. 정부에서는 18세기 이후 시전 상인들의 금난전권(禁亂廛權)을 점진적으로 폐지하는 통공(通共)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경강상인들이 상품 일부를 직접 판매할 수 있도록 처분해 주었다. 이러한 조치는 경강상인의 영업권을 확대시키는 효과를 낳는 한편 시전 상인의 갈등을 야기했다.

사선을 통한 물품의 구입과 수송 분야에서 우위를 선점하고 있던 경강상인들은 한강변 시전 상인들과 결탁해 도고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시중의 가격 차를 이용한 막대한 수익을 꾀하기도 했다. 1833년(순조 33) 서울에서 일어난 대규모의 ‘쌀 소동’ 사건은 경강상인과 미전인(米廛人)들이 함께 도모한 대표적인 도거리 사례이다. 당시 ‘쌀 소동’으로 서울 시내의 곡물전들은 피해를 입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였다. 1833년(순조 33) 쌀 소동 사건은 경강상인과 시전 상인들이 사상 도고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여 주는 사례로서 조선 후기 서울의 상업 유통 구조와 상인층의 질적 변화를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일성록(日省錄)』
『각전기사(各廛記事)』
『시폐공폐(市弊貢弊)』
우정규, 『경제야언(經濟野言)』

단행본

최완기, 『朝鮮後期船運業史硏究』(일조각, 1989)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상업발달사연구』(지식산업사, 1998)
고동환, 이태진 외 『서울상업사』(태학사, 2000)
변광석, 『조선후기 시전상인 연구』(혜안, 2001)
고동환, 『조선시대 시전상업 연구』(태학사, 2013)

논문

강만길, 「京江商人과 造船都賈」(『조선후기상업자본의 발달』, 고려대학교출판부, 1973)
고동환, 「조선후기 연안항해와 外洋船路의 개척」(『동방학지』 161,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김미성, 「조선후기 시전인과 공인의 병존 관계: 지전-지계, 진사전-진사계 사례를 중심으로」(『서울학연구』 73,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8)
김옥근, 「조선시대 조운제 연구」(『경제학연구』 29, 한국경제학회, 1981)
김정자, 「순조대 정국의 동향과 시전정책의 추이」(『역사와 현실』 94, 한국역사연구회, 2014)
이욱, 「조선후기 한강변의 상품경제 발전과 상업정책의 변화」(『서울학연구』 24,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5)
이욱, 「18세기 말 서울 商業界의 변화와 政府의 對策」(『歷史學報』 142, 역사학회, 1994)
전우용, 「근대 이행기(1894~1919) 서울 시전 상업의 변화」(『서울학연구』 22,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4)
李大熙, 「李朝時代の漕運制について」(『朝鮮學報』 23, 朝鮮學會, 1962)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