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징장 ( )

목차
관련 정보
김천 징장 / 김일웅
김천 징장 / 김일웅
국악
개념
경상북도에서 지정 · 보호하는 전통악기 징의 장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에서 지정 · 보호하는 전통악기 징의 장인.
내용

1986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기능보유자 김일웅(金一雄)은 외증조부대로부터 외조부 김성로 · 외삼촌 김용모와 김용비로 외가에 전승되어 내려온 징과 꽹과리 제작기술을 이어 받았다. 그의 외삼촌들 중에 김달영은 주로 요강을, 김재영은 대야를 만들었다.

징과 꽹과리는 질 좋은 놋쇠를 두들겨서 만드는 방짜이다. 징의 제작공정은 다음과 같다.

① 먼저 구리와 상납을 1:4의 비율로 넣고 녹여 합금(合金)시킨다. ② 지메꾼과 센메꾼이 돌아가면서 쇠메로 친다(도둠질). ③ 바디기(합금 덩어리)가 식으면 다시 화덕에 넣는다. 화덕에는 불만 전문으로 보는 사람이 지킨다. ④ 바디기가 다시 달궈지면 꺼내어다 같은 방법으로 치고 또 친다.

⑤ ‘도둠질’로 얼마큼 늘어난 바디기를 ‘초바디기’라 하는데, ‘초바디기’는 석장을 겹쳐서 친다. ⑥ ‘초바디기’가 징 바닥만큼 늘어나면 가장자리를 두들겨서 오긋하게 오그린다(이가리). ⑦ ‘이가리’를 다시 달궈서 그 바닥을 거듭 ‘싸게질’한 다음 ‘담금질’을 하여 놋쇠의 강도를 높인다.

⑧ 살 펴기:징바닥의 두께가 고르도록 작은 망치로 두들긴다. ⑨ 율음 잡기:징 제작 때 가장 높은 기술이 필요한 공정이므로 대정(대장)이 맡는다. 대정은 처음에 ‘풋울음’을 깨우기 위해 곰망치로 징 바닥을 계속 쳐 나간다.

어느 정도 소리가 잡히면 징의 겉쪽 바닥에 나무의 나이테 모양으로 상사(오목한 홈을 파낸 줄)를 새기고 테에 구멍을 뚫어 손잡이를 맨 뒤 마지막으로 징소리를 다듬는다. 황소울음처럼 구성지고 소리 끝이 길게 끌리며 위로 올라가야 비로소 하나의 징이 탄생된다. 꽹과리의 제작공정도 이와 비슷하나 소리가 귀청 따갑게 왈왈거리면서 코멘 소리가 나야 한다.

참고문헌

경북도청 지정 자료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