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계집 ()

노계집
노계집
한문학
문헌
조선시대 때의 시인, 박인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때의 시인, 박인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0년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3권 2책. 목판본. 모두 3차에 걸쳐 간행되었다. 1800년에 초간, 1904년에 중간, 1959년에 3간되었다. 중간은 초간에다 내용을 약간 첨가한 것이다. 3간은 초간의 훼손된 부분을 개각하고 새로 발견된 <입암가 立巖歌> 7수 및 ≪고금가곡≫ 중 그의 저작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보각(補刻), 추가한 것이다.

이 밖에 연대 미상의 판본이 있다. 그리고 광무연간의 판본에는 <도산가 陶山歌>를 수록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두 종류가 있으나, <도산가>는 그 글자체(字體)가 다르고 다른 가사와 달리 책 끝에 수록된 점 등으로 인하여 박인로의 저작임을 의심하는 사람도 있다.

내용

권수에 김유헌(金裕憲)의 서(序)가 있다. 권1에는 도(圖)로는 <세계도 世系圖>·<중용성도 中庸誠圖>·<대학경도 大學敬圖>·<자경목 自警目> 등과 부(賦)로는 <문족부 捫足賦> 1편, 시로는 <제덕연정 題德淵亭>과 <병중유회 病中有懷> 등의 오언절구 9수와 오언율시 3수, 칠언절구 71수, 칠언고시 <안분음 安分吟> 1수와 전으로는 <무하옹전 無何翁傳> 1편, 기(記)로는 <몽견주공기 夢見周公記> 1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부록으로 장현광(張顯光)의 <무하옹전구인산기발 無何翁傳九伊山記跋>와 정호신(鄭好信)의 <산자오절운봉정노계박공 山字五絶韻奉呈蘆溪朴公>·<향유청포상정문 鄕儒請褒賞呈文>·<순상청포계장 巡相請褒啓狀>, 조호익(曺好益)의 만사(輓詞), 정규양(鄭葵陽)의 행장(行狀), 이덕현(李德玄)의 <도계사우상량문 道溪祠宇上樑文>, 이복인(李復仁)의 봉안문, 이정병(李鼎秉)의 묘갈명, 정하원(鄭夏源)의 <수갈위안문 豎碣慰安文> 등이 있다.

속부(續附)에는 정호의(鄭好義)의 <차영죽운 次詠竹韻>, 정하원의 <차산자운 次山字韻>·<차인자운 次人字韻>·<겸치경앙지사 兼致景仰之思> 등이 있다.

권3에는 제목 가(歌) 아래 국한문혼용체의 가사와 시조가 실려 있다. 가사는 <태평사 太平詞>·<사제곡 莎堤曲>·<누항사 陋巷詞>·<선상탄 船上歎>·<독락당 獨樂堂>·<영남가 嶺南歌>·<노계가> 등이다.

시조는 총 60여수가 수록되었다. 내용별로 분류하면, 신유년 가을 정구(鄭逑)와 함께 울산 초정에서 목욕할 때 지은 시 2수와 <오륜가> 25수, <입암가 立巖歌> 29수(본집에는 22수가 실려 있으나 새로 7수가 발견됨. ), <노주유거 蘆洲幽居> 1수, <자경 自警> 3수, <사친 思親> 1수, <모현 慕賢> 2수, <조홍시가 早紅枾歌> 4수이다.

≪노계집≫가운데에서 권1의 <중용성도>·<대학경도>·<소학충효도>는 주자학에 입각하여 경서를 도해한 것이다. <안분음>은 청빈 속에 노계의 자족하는 생활태도를 잘 나타내고 있으며, <무하옹전>은 자전적인 것을 기록한 것이다.

권2의 <무하옹전구인산기발>·<향유청포상정문>·<순상청포계장> 등에서는 그의 인물과 충·효·우애·청빈·애민 등의 생활태도가 잘 묘사되어 있다. 특히, 권3의 시조와 가사는 국문학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의의와 평가

박인로는 시조를 즐겨 지어 완전히 생활화해 작품이 풍요로워서 정철(鄭澈)에 버금가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국문학사상 의의는 가사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의 시조는 양적으로는 많으나 대체로 참신미가 없고, <오륜가>같은 교훈적인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 가사작품은 한자나 고사성어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의 구상이 웅장하면서도 섬세한 필치가 숨어 있으며 풍부한 어휘를 구사하여, 시가문학사상 높이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박로계연구』(이상보, 일지사, 1962)
『송강·노계·고산의 시가문학』(박성의, 현암사, 1966)
『노계가사연구』(이상보, 이우출판사, 1978)
「노계박인로의 시가연구」(구수영, 동국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86)
관련 미디어 (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