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향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인향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인향전」은 작자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이 작품은 「장화홍련전」과 유사한 계모와 전실 자식의 갈등을 중심 서사로 하고 있다. 「장화홍련전」의 모방작으로도 논의되지만 다양한 인물군이 등장한다는 것과 상당히 구체적 초반 서술이 있다는 차이가 있다. 사회를 반영하는 서술이 있지만, 후반부의 문제해결 과정이 악인 계모를 벌주고 가부장의 실질적 책임을 외면하는 등 문제의 핵심을 회피하였기 때문에 전반부에서 성취했던 서술의 구체성을 끝까지 이어가지는 못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본 사항

1책. 한글 필사본 · 활자본. 『한글필사본고소설자료총서』에는 ‘인향전 권지단’이란 표제를 가진 이본(異本) 3종이 있다. 활자본은 세창서관(世昌書館) 발행으로 통용되는 박승엽 저 「인향전」을 「김인향전」으로 고쳐 부르고 있다.

이 소설은 1915년 한성서관과 유일서관, 1923년과 1925년 판문서관, 그리고 1932년 신구서림에 의해서 광고된 바 있다.

내용

태종 때 평안도 안주성에 살던 좌수 김석곡(金石谷)의 후처 정씨(鄭氏)는 전실 소생의 아들 인형(仁亨)과 딸 인향(仁香) · 인함(仁咸)을 몹시 구박한다. 자신의 소생을 갖게 되어 인향 남매를 아주 없애 버릴 흉계를 품은 정씨는 간악한 노파의 꾀를 빌려 인향이 처녀의 몸으로 외간 남자와 정을 통해 임신한 것으로 꾸민다.

이에 아버지는 분노하여 인형을 시켜 인향을 죽이게 한다. 인향은 못에 빠져 죽고 동생 인함도 뒤따라 목매어 죽는다. 두 딸을 잃은 아버지는 상심하여 죽고, 고아가 된 인형은 외가에 의탁한다.

한편 안주부사의 공청에 인향 자매의 원혼이 나타나 억울함을 호소하나, 부사들은 계속 놀라 죽는다. 그리고 마을에는 흉년이 들어 안주읍이 거의 폐읍이 될 지경이 된다. 이에 조정에서는 김두룡(金斗龍)을 부사로 보낸다.

그는 인향 자매의 원귀를 만나서 사실을 알아내어 정씨와 노파를 처형한 다음, 인향 자매의 위령제를 지내준다. 한편, 과거에 급제하여 한림학사가 된 인향의 약혼자 유성윤(柳成允)이 인향의 몽중 암시로 그녀의 무덤을 파고, 아직 썩지 않은 인향 자매의 시체에 영약을 뿌려 회생시킨다. 인형과 인향 자매가 다시 상봉하고 인향은 드디어 유성윤과 혼인한다.

의의와 평가

「김인향전」은 계모가 전처 소생을 학대하는 계모형 가정소설로 「장화홍련전」과 비교되어 왔다. 두 작품의 유사성이 두드러지지만, 인물이나 사건 전개에서 보이는 차이점은 단순한 모방작으로 결론 내릴 수 없는 이유가 된다. 등장인물이 김인형·인향·인함 세 남매와 부친 김 좌수, 모친 양씨, 계모 정씨, 인향과 혼인하는 유성윤, 계모와 모략을 짜는 무당 할미, 신관 사또 등으로, 주요 인물과 보조적 인물이 「장화홍련전」보다 확대되어 있다. 또한 서사의 구체성과 개연성이 강화되어 단순한 선악 구도가 아닌 내면 동기들을 짚어볼 수 있다.

반면, 후반부로 갈수록 비현실적 요소가 강해지면서 작품의 합리적 지향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계모가 전실 자식을 모함하는 부분이 구체적이고 합리적으로 그려진 데 비해 인향의 신원(伸寃)은 매우 소략하게 처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반부 후반부의 서사적 구체성이 차이나는 이유는 현실적 문제에서 출발하였으나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이념적 차원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현실적 문제를 다루고 있지만 문제 해결 방법과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실패했다는 것이 가장 주요한 이유일 것이다. 계모를 악인으로 규정하고, 일차적 책임이 있는 가부장의 책임을 논하지 않기 때문에 벌어지는 서사적 취약성이다. 그럼에도 이 작품은 현실적 갈등을 관찰하고 서사화하는 측면에서는 진일보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재용, 『계모형 소설의 시학』(집문당, 1996)
우쾌재, 『한국가정소설연구』(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1988)

논문

윤정안, 「〈김인향전〉의 의미 형상화 방식」(『국어국문학』 152, 국어국문학회, 2009)
이승복, 「계모형 가정소설의 갈등양상과 의미」(『관악어문연구』 20,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5)
이원수, 「가정소설 작품세계의 시대적 변모」(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이지하, 「〈김인향전〉의 인물형상화와 작품지향성의 관계 -〈장화홍련전〉과의 비교를 토대로」(『동양고전연구』 38, 동양고전학회, 2010)
한상현, 「〈김인향전(金仁香傳)〉 주인공의 인격적 성향과 가정비극의 상관성 : 계모형 가정소설과 관련하여」(『고전문학연구』 17, 한국고전문학회, 2000)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