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도 ()

대청도
대청도
자연지리
지명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에 속하는 섬.
내용 요약

대청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에 속하는 섬이다. 백령도·소청도·연평도·소연평도 등과 함께 서해 5도의 하나이다. 『고려도경』에는 눈썹을 그리는 검푸른 먹과 같이 푸르고 울창해서 붙인 이름이라고 하였다. ‘푸른 섬’을 한자로 표기하여 포을도(包乙島) 또는 청도(靑島)라고 불렀다. 섬 주위가 모두 암벽이어서 암도(岩島)라고도 한다. 본래 장연군을 거쳐 옹진군에 속해 있었으며, 갑오경장 후에 백령면의 대청리·소청리로 되었다가 광복 후 옹진군에 편입되었다. 고려 충숙왕 때에 원나라의 발라태자와 도우첩목아를 귀양 보냈다고 한다.

정의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에 속하는 섬.
개설

대청도는 백령도 · 소청도 · 연평도 · 소연평도 등과 함께 서해 5도의 하나이다. 인천광역시로부터 서북쪽으로 211㎞, 백령도 남쪽으로 12㎞, 옹진반도 서남쪽으로 약 40㎞ 거리에 위치해 있는 전략적으로나 전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는 섬이다. 경위도 상으로는 동경 124°53′, 북위 37°53′에 위치하며, 면적은 12.75㎢, 해안선 길이는 24.7㎞ 이다.

명칭 유래

『고려도경』에 "대청서(大靑嶼)는 멀리서 바라보면 울창한 것이 마치 눈썹을 그리는 검푸른 먹과 같다 하여, 고려인들이 이름을 붙인 것이다"한 것에서, 이 섬이 '푸른 섬'으로 불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지역을 포을도(包乙島)라 하였는데 이는 '푸른 섬'의 우리 음을 한자로 기록한 것이며, 이를 다시 한자화한 것이 청도(靑島)이다. 또 대청도를 암도(岩島)라고 불렀다고도 하는데 이는 대청도의 섬 주위가 모두 암벽이기 때문에 붙여진 지명으로 추정된다.

자연환경

대청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섬의 남쪽에 위치한 해발고도 343m의 삼각산(三角山)으로, 이를 중심으로 U자 형태로 산지가 뻗어 있다. 평지는 U자 형태로 열려 있는 섬의 북쪽 동내동과 옥죽동 일대에 일부 분포하고 있고 섬의 대부분은 해안선을 따라 주1로 둘러싸여 있다. 섬의 주2주3은 주로 북쪽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섬의 북동단에 위치한 옥죽동에는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매우 큰 편에 속하는 해안사구가 발달해 있고, 주4 등 다양한 사구 미지형이 조사되어 학술적으로도 매우 가치가 높다. 옥죽동 해안사구는 주변의 해빈으로부터 공급된 모래가 산기슭에까지 이동되어 퇴적되어 있고, 현재는 주변 일대가 논으로 개간되어 있으나, 과거에는 내륙 깊숙이까지 사구지대를 형성하였다.

사구에 대한 연대측정(OSL) 결과, 깊이 65㎝ 지점의 연대는 34±7년, 깊이 220㎝ 지점의 연대는 37±8년으로 추정되었다. 지난 수 십년 사이에 최소한 220㎝의 모래가 퇴적되었으며, 이 지역에서의 모래 이동 및 퇴적작용이 매우 활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형성 및 변천

대청도는 본래 장연군을 거쳐 옹진군에 속해 있었으며, 갑오경장 후 한때 대청도 도장(島長)을 배치하기도 하였으나 뒤에 다시 백령면의 대청리 · 소청리로 되었다가 광복 후 옹진군에 편입되었다.

『동국여지승람』에 보면 대청도에는 고려 충숙왕 5년(1318) 원나라에서 발라태자(孛刺太子)를 이곳에 귀양 보냈다가 충숙왕 10년에 소환하고, 그 이듬해 재차 귀양을 보냈다가 소환하였으며, 충숙왕 17년 도우첩목아(陶于帖木兒)를 여기에 귀양 보냈다가 후원년(後元年, 1332)에 소환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대청도 내동에는 아직도 그들이 거처하던 집터인 거택기(居宅基)의 유지(遺趾)가 남아 있으며, 깨진 기왓장이 발견되기도 한다.

대청도의 지질은 상부 원생대에 속하는 상원계 직현통과 제4기 해안사구 및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반암은 규암 및 규암질 사암으로 이뤄졌고, 대청도 해식애에서 수직층리 및 습곡구조를 통해 과거 격렬한 지각운동을 경험한 것을 알 수 있다.

현황

농산물로는 약간의 쌀과 보리, 그리고 콩과 감자가 생산된다. 근해는 좋은 어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요 어종으로는 홍어 · 우럭 · 놀래미 · 전복 · 해삼 등이 많이 잡힌다.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는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이곳의 동백은 국내에서 최북단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림청은 2000년 4월 대청도 두 곳의 소나무 숲을 '산림유전자보호구역'으로 지정했다.

참고문헌

『전국자연환경조사』(국립환경과학원, 2007)
『인천의 섬』(김종혁 외,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 2004)
『한국도서백서(韓國島嶼白書)』(전라남도, 1996)
『도서지(島嶼誌)』(내무부, 1985)
『한국지명요람(韓國地名要覽)』(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대청도 옥죽동 해안사구의 지형특성 및 발달과정에 관한 고찰」(박천영·최광희·김종욱, 『한국지형학회지』, 16·1, 2009)
주석
주1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2

그물처럼 퍼져 있는 하천, 호수, 늪 따위의 분포 형태. 우리말샘

주3

침식 및 삭박 작용에 의하여 기복이 거의 없이 평탄화된 지표면. 우리말샘

주4

사구 저지에 형성된 호소.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김주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