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도 ()

자연지리
지명
경기도 안산시 대부동에 속하는 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34.39㎢
둘레
61㎞
소재지
안산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부도는 경기도 안산시 대부동에 속하는 섬이다. 대부도는 안산시청으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22㎞에 떨어진 면적 34.39㎢의 시화방조제로 연륙된 섬이다. 화성시 남양동에서 보면 마치 '큰 언덕'처럼 보인다고 해서, 또 서해안에서 가장 '큰 섬'이라 하여 '대부도'라 하였고 연화부수지, 낙지섬, 죽호 등으로도 불리었다. 선캄브리아기의 경기변성암복합체와 서산층군에 속하는 변성퇴적암류가 주로 분포한다.

정의
경기도 안산시 대부동에 속하는 섬.
개설

북위 37°14'37", 동경 126°35'07"에 위치. 안산시청으로부터 서남서쪽으로 약 23.5㎞ 떨어졌다. 면적 34.39㎢, 해안선 길이 61㎞, 인구 9,226명(2022년 5월 현재)으로 농업 인구 비율이 높다. 서울에서 2시간, 수원에서 50분이면 닿는 거리이다.

명칭 유래

대부도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동에서 보면 마치 ‘큰 언덕’처럼 보인다고 해서, 또 서해안에서 가장 ‘큰 섬’이라 하여 불린 이름이다. 연화부수지, 낙지섬, 죽호 등으로도 불리었다.

자연환경

대부도의 지질은 주1의 경기변성암복합체와 서산층군에 속하는 변성퇴적암류가 주로 분포한다. 주요 암종(巖種)은 경기편마암복합체의 각섬석흑운모편마암을 기반으로 편암류, 감섬암, 서산층군의 태안층, 시대미상의 엽리상 화강암, 주2 경상누층군에 대비되는 주3 퇴적암 등이다. 탄도 해안 퇴적층은 1억년 전 주4 주5의 것으로 추정되는 공룡알 화석주6, 공룡발자국 및 사슴뿔 화석 등을 간직하고 있다.

대부도의 최고봉은 황금산(168m)이다. 이를 제외하면 대부분 100m 이하의 주7로 이루어졌다. 해안선은 드나듦이 복잡하고 주변 해역에 터미섬 · 쌀섬 · 거북햄섬 등 무인도가 흩어져 있다. 넓게 펼쳐진 간석지 가운데 일부가 염전으로 이용되었다. 방아머리와 구봉이를 거쳐 메추리섬에 이르는 바닷가는 모래해변과 울창한 주8이 어우러져 경치가 근사하다. 특히 구봉도의 해넘이가 장관이다. 구봉도 모래해안은 지반이 탄탄하고 90~100년 된 소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기후는 대체로 주9의 차가 크며 겨울철에 북서계절풍의 영향이 강하게 불면서 눈이 내린다. 1월 평균기온 -4℃ 내외, 8월 평균기온 24℃ 내외, 연강수량 1,210㎜, 연강설량 870㎜ 정도이다. 옛 선감도와 탄도를 아울러 주10은 논 5.91㎢, 밭 4.05㎢, 염전 2.48㎢이다(2015). 육지에 가까워 조선시대까지 주11으로 이용하였다. 주민은 농업어업을 겸하는 경우가 많다. 농작물로는 · 포도 · 약초 · 땅콩 등이 생산된다. 특히 포도는 생산량이 많아 인천을 비롯한 도시로 출하된다. 주12에서는 망둥이 · 새우 · 바지락 등이 잡히고 주13도 활발하다. 취락은 곳곳에 산재하며 김(金) · 이(李) · 홍(洪) · 장(張) · 노(盧) 등으로 이루어진 주14을 이룬다.

형성 및 변천

대부도는 남양군, 부천군, 옹진군을 거쳐 안산시 관할이 되었다. 1994년 시흥시 오이도(烏耳島)와 대부도 방아머리를 잇는 총 연장 12.7㎞의 주15가 건설됨으로써 육지와 연결되었다. 시화방조제를 통해 시흥시 정왕동과 탄도방조제(1988년 5월 주16를 통해 화성시 전곡리와 연결된 것이다. 그래서 새로 소속될 주17를 뽑는 주민투표 결과 안산시가 가장 많이 득표(50.4%)함으로써 1994년 12월 안산시로 편입, 대부동으로 개편되었다.

현황

대부도 일대는 조수간만의 차가 커서 간조시에는 넓은 갯벌이 펼쳐진다. 물때를 맞춰 갯벌에 들어가면 갖가지 생물을 만날 수 있다. 특히 어촌계에서 운영하는 갯벌체험장은 급수대 등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 어린이에게도 유익하고 즐거운 현장 체험학습이 된다. 이러한 체험은 탄도, 선감도, 종현동 유어장(어촌계)에서 갯벌의 생태를 배우는 ‘전문가와 함께하는 갯벌교육’, 소라낙지에 대해 배워 보는 ‘어장체험’ 등으로 진행된다.

대부도는 해안 도서지방이 대체로 밭농사 중심인 데 반하여 논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편이고 주18의 비중이 60% 이상이어서 주19도 높다. 주요 농산물 · 보리 · 감자 · 고구마 · 땅콩이고 주20로는 이 생산된다. 요즈음에는 포도와 약초 재배가 활기를 띠고 있으며 관상용 주21도 곳곳에서 재배되고 있다. 연안에서 수산양식업이 활발하여 망둥이 · 새우 · 바지락 등이 잡히고 굴양식이 행해지는 한편 염전에서 소금도 생산한다. 대부도는 포도와 함께 찐빵, 바지락 칼국수가 유명하다. 대부도 북쪽으로 총 연장 12.7㎞의 시화방조제가 시흥시 오이도와 연결하고 있어 수도권에서 접근성이 양호한 편이다. 2010년대에 시화나래휴게소와 시화나래조력공원, 시화달전망대가 들어서 명소가 되었다. 방아머리해수욕장, 대부바다향기 테마파크, 홀리데이파크 등지도 관광지로 조성되었다. 방아머리 선착장에서 자월도, 승봉도, 대이작도, 덕적도로 향하는 여객선이 출항한다.

문화유적으로 남동에서 이름난 효자였던 홍정희의 주22과 가난한 백성을 도와주며 살았던 이찬을 기리는 자선비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지명총람』(한글학회, 1974)
『한국지명요람』(건설부 국립지리원, 1983)
『도서지』(내무부, 1985)
『한국도서백서』(전라남도, 1996)
『대부도 도폭 지질조사 보고서 축척 1:50,000』(한국자원연구소, 1999)
『한국지명유래집』경기편(국토지리정보원, 2020)

논문

김동적, 「생태도시탐방: 경기 화성, 안산-도시화의 한켠에 남아 있는 청정지대 대부도와 제부도-」(『도시문제』38권 415호, 대한지방행정공제회, 2003)
김초록, 「우리섬, 우리포구: 무더위도 식히고 개펄 체험도 하고 수도권에서 가까운 대부, 제부도와 주변의 포구들」(『도시문제』41권 452호, 대한지방행정공제회, 2006)

인터넷 자료

안산시청(www.iansan.net)
구글지도(https://www.google.co.kr/maps)

기타 자료

대한민국 구석구석
전국자연환경조사 보고서(2020)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안산시, 2020)
「1:50,000 지형도」(국토지리정보원, 2021)
주석
주1

캄브리아기 이전의 지질 시대. 약 46억 년 전부터 약 5억 70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하며, 시생대와 원생대로 나눈다. 우리말샘

주2

중생대를 3기로 나누었을 때 마지막 지질 시대. 약 1억 4,5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우리말샘

주3

응회암을 50% 이상 포함한 상태. 우리말샘

주4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고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2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이다. 겉씨식물이 번성하였고, 공룡과 같은 거대한 파충류를 비롯하여 양서류ㆍ암모나이트 따위가 번성하였다.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다시 나뉜다. 우리말샘

주5

중생대를 3기로 나누었을 때 마지막 지질 시대. 약 1억 4,5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우리말샘

주6

규산 물질로 변화한 나무. 이산화 규소를 함유한 지하수 따위의 작용으로 땅속에 묻힌 나무가 단백석이나 마노로 변한 것이다. 우리말샘

주7

평지와 산지의 중간 성격을 가지는, 별로 높지 않은 언덕들이 있는 땅. 우리말샘

주8

소나무가 우거진 숲. 우리말샘

주9

추위와 더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농사를 짓는 땅의 넓이. 우리말샘

주11

말을 먹여 기르는 곳. 우리말샘

주12

연해와 근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3

물고기나 해조, 버섯 따위의 양식을 전문으로 하는 생산업. 우리말샘

주14

같은 성씨들이 모여 사는 촌락. 우리말샘

주15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와 시흥시 오이도를 연결하는 방조제. 대단위 간척 종합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1987년에 착공하여, 1994년에 완공하였다. 길이는 12.7km. 우리말샘

주16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와 화성시 서신면을 연결하는 방조제. 탄도(炭島)는 선감동에 위치한 섬이었으나, 방조제로 연결하여 연륙이 되었다. 우리말샘

주17

지방 자치 단체 중 특별시, 광역시 및 도에 속해 있으며 좁은 구역을 관할하는 자치 단체. 시, 군 및 자치구가 있다. 우리말샘

주18

수리ㆍ관개 시설이 잘되어 가뭄에도 안전하게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논. 우리말샘

주19

경지 면적에 대한 실지 경작 면적을 백분비로 나타낸 비율. 우리말샘

주20

산림에서 나는 물품. 우리말샘

주21

옮겨 심는 어린나무. 우리말샘

주22

효자를 표창하여 기리고자 세운 정문(旌門).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