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산 도립공원 ( )

자연지리
지명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걸쳐 있는 도립공원.
지명/시설
건립 시기
1973년
면적
19.859㎢
소재지
예산군, 서산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덕산 도립공원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걸쳐 있는 도립공원이다. 덕산 도립공원은 1973년 3월에 가야산과 덕숭산 일대의 자연경관과 온천, 사찰, 사적지 등을 중심으로 지정된 도립공원이다. 예산군 덕산면을 중심으로 서산시 해미면, 운산면에 걸쳐 있으며 충의사 구역, 덕산 온천 구역, 가야산 구역, 덕숭산 구역으로 이루어졌다. 덕산(德山)은 산 이름이 아니다. 덕산 도립공원의 명칭은 이 공원에 속한 가야산 구역의 행정지명 덕산면(德山面)에서 유래한다.

정의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걸쳐 있는 도립공원.
개설

북위 36°39′, 동경 126°37′에 위치. 덕산 도립공원은 1973년 3월에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가야산(伽倻山, 678m)과 덕숭산(德崇山, 495m) 일대의 자연경관과 온천, 사찰, 사적지 등을 중심으로 지정된 면적 19.859㎢의 공원이다. 예산군 덕산면을 중심으로 서산시 해미면 · 운산면에 걸쳐 있으며 충의사 구역(忠義祠 區域), 덕산온천 구역, 가야산 구역, 덕숭산 구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명칭 유래

덕산(德山)은 산 이름이 아니다. 덕산 도립공원의 명칭은 이 공원에 속한 가야산 구역의 행정지명 덕산면(德山面)에서 유래한다.

자연환경

차령산맥의 지맥에 해당하는 가야산 일대는 최고봉인 가야봉(伽倻峰)과 그 남쪽의 덕숭산 산정부가 화강암의 암석돔(dome)으로 이루어진 모습을 제외하면 대체로 구릉성의 완만한 산세를 보이고 기복을 뒤덮은 활엽수림과 어울린 경관이 장관이다.

지형과 지세는 가야산 구역이 덕숭산 구역에 비해 다소 표고가 높고 경사가 급하다. 가야산은 산사면과 구릉지를 따라 배수가 양호한 암쇄토(巖碎土)가 대부분이며 주요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암석이 노출되어 있다. 덕숭산은 중립질 흑운모 화강암의 산지이지만 암석 미지형의 분포가 적다. 대부분 새프롤라이트(saprolite)화 하였거나 토양층으로 덮여 있다. 수덕사 계곡은 하상의 기반암에 단층과 절리를 따라 유로가 발달하였고, 23m 크기의 바위를 포함한 사력이 여울을 형성하고 있다. 해발고도 450m 지점에 높이 15m, 폭 25m에 이르는 수직의 암벽과 높이 2030m, 폭 70m, 70°의 단애(斷崖)가 드러나 있다. 길이 20m, 폭 15m의 암반으로 이루어진 덕숭산 정상부는 50㎝ 깊이의 그루브(凹凸)가 나타난다.

가야산의 식생신갈나무 군락과 소나무 군락, 소사나무 군락, 떡갈나무 군락, 굴참나무 군락이 전체적으로 우점하고 잣나무림과 리기다소나무림도 출현한다. 식생의 유형은 능선부의 신갈나무, 남사면의 소나무, 산복부의 소사나무, 계곡림의 총 4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현황

덕산 도립공원에는 국가지정문화유산 7점, 시도유형문화유산 5점, 문화유산자료 8점이 있다. 덕숭산 구역에 고려시대 목조건물인 천년고찰 수덕사가, 가야산 구역에는 남연군묘가 있다.

덕산온천은 이이(李珥)의 저서에도 소개된 온천이다. 날개와 다리에 상처를 입은 학이 날아와 온천물을 바르자 나아서 날아갔다는 유래가 전해온다. 수온은 약 45℃이며 약알칼리성이다. 일찍부터 이름난 온천으로서 지구유(地球乳)라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덕산온천지구유(德山溫泉地球乳)’는 온천 약수가 나온 것을 기념하고 알리기 위한 비로서, 1947년 온천수가 나오자 땅에서 나왔다는 의미로 약수의 명칭을 ‘지구유’라고 한 것이다. 덕산온천지구유는 1984년 5월 17일 문화재자료 190호(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현재 종합온천장(대온천탕) 5개 업소, 대온천탕(콘도) 1개 업소 등을 포함하여 9개 업소가 운영 중이다.

충의사는 이곳에서 출생한 윤봉길의 유덕과 충절을 기리는 사당으로 유물 13점을 전시 중이며 생가인 광현당과 기념탑이 있다. 가야산 구역과 덕숭산 구역은 남북으로 20㎞에 달하는 능선의 자연경관과 한치골 · 느락골 등의 계곡이 어우러져 경치가 수려하다.

덕숭산 남쪽의 산록에 명찰인 수덕사(修德寺)를 비롯, 정혜사(定慧寺) · 환희대(歡喜臺) · 향운각(香雲閣) · 전월사(轉月寺) · 소림초당(小林草堂) · 견성암(見性庵) · 석문 · 만공탑 · 관음석굴 등이 있으며, 벽초스님이 대웅전 부근에서 정혜사까지 쌓은 1,080개의 돌계단도 명물이다. 덕숭산 정상의 정혜사에서는 서해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수덕사는 백제 말 숭제법사(崇濟法師)가 창건하였다고도 하고 신라 문무왕원효(元曉)의 개찰이라는 설도 있다. 여기에는 고려 말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는,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목조건물의 하나인 수덕사 대웅전(국보, 1962년 지정)과 일주문(一柱門)이 있다. 1983년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된 수덕사 삼층석탑, 1997년 보물로 지정된 수덕사 노사나불괘불탱, 2003년 보물로 지정된 수덕사 목조삼세불좌상일괄 등도 있다. 수덕사 대웅전에는 백제 건축가인 아비지(阿非知)의 조각과 고구려담징(曇徵)의 벽화가 보존되어 있다. 수덕사 대웅전은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안동 봉정사 극락전 등과 함께 현존하는 고려시대 목조건물의 하나이다. 대웅전은 1936년부터 4년 동안 중수하다가 대들보에서 나온 묵서(墨書)에 고려 충렬왕 34년(1308년)에 건립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남아있는 고려시대 건축물 가운데 특이하게 백제적인 곡선을 보여주며 앞 세칸, 곁 네칸의 단층 맞배집으로 그 형태가 장중하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홍운, 『한국관광지리(韓國觀光地理)』(형설출판사, 1985)
손경석, 『한국의 산천』(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한국관광자원총람(韓國觀光資源總覽)』(한국관광공사, 1985)

논문

신학섭, 윤충원, 「충남 가야산 산림식생의 종조성 및 군집특성」(『농업생명과학연구』, 48-3, 2014)
이명규, 「도립공원 이용자의 행태 한 연구-덕산도립공원을 대상으로-」(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http://www.khs.go.kr)
예산군 문화관광(http://www.yesan.go.kr/culture)
예산군청(http://www.yesan.go.kr)

기타 자료

「1:50,000 지형도」(국토지리정보원, 2017)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