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리포해수욕장 ()

만리포해수욕장
만리포해수욕장
자연지리
지명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에서 의항리 구간에 있는 해수욕장.
정의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에서 의항리 구간에 있는 해수욕장.
개설

만리포해수욕장은 태안반도 서쪽에 위치하며, 길이는 약 2.5㎞, 폭 약 270m의 북서방향으로 발달된 사빈이다. 태안에서 서쪽으로 12㎞ 지점에 위치한다. 대천해수욕장·변산해수욕장과 더불어 서해안의 3대해수욕장의 하나로 손꼽히며, 북쪽으로 이어져 있는 천리포해수욕장과 함께 태안해안국립공원의 명소를 이룬다.

자연환경

만리포해수욕장은 바닷물이 비교적 맑고 모래질이 고우며 경사가 완만하여 수심이 얕은 데다 해변에 담수(淡水)가 솟아난다.

만리포 해빈은 모래유실로 인하여 호안이 건설되어 있으나 현재도 상당량의 해빈 퇴적물이 유실되고 있어서 인위적으로 모래를 공급해 주기도 한다. 표층퇴적물은 역질과 니질의 비율은 적으며, 대부분 사질퇴적물로 구성되어 있다. 평균입도는 1/48Ø의 중사에 해당된다. 해빈의 배후에는 해안사구가 형성되어 있고 대부분 식생으로 고착화되어 있지만, 우곡의 발달로 해체되어 원형만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고사구가 발견되기도 한다.

겨울철 강한 북서계절풍의 영향과 큰 조차에 의한 조류의 영향을 받는다. 겨울철 만리포 해빈의 표층퇴적물 특성은 북쪽 해빈은 조립질을 나타내고, 방파제 뒤 남쪽 해빈은 세립질로 이질함량이 높게 나타난다. 퇴적물 이동경로는 육지 쪽 해빈은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표층퇴적물이 호안 쪽으로 이동하고, 해안 쪽 해빈에서는 파랑과 조석의 상호작용에 의해 표층퇴적물이 남서방향과 외해로 이동한다.

형성 및 변천

2007년 12월 7일 7시에 충청남도 태안군 만리포 북서방 약 10㎞ 해상에서 크레인부선(삼성1호, 11,818톤)과 투묘중인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호(146,848톤/홍콩선적)가 접촉하여 원유 12,547kl가 해상에 유출되는 내 최대 해양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하였다.

만리포해수욕장은 최대 피해지역으로, 유출된 원유가 바다를 검게 뒤덮고 있었다. 해상에서는 방제선의 유화제 유포작업이 진행되었고, 해안가에서는 가장 많은 자원봉사 인원이 투입되어 오일제거 작업을 실시하였다. 전국에서 모여든 100만명의 자원봉사자들이 힘을 합쳐 아름답고 깨끗한 해변으로 거듭났다.

그러나 표면상으로 기름들은 사라진듯하지만, 모래사장 바닥이나 방파제, 갯벌 속에는 현재까지 기름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해저와 수중에도 잔류기름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잔류물은 그 물질 자체의 위험성은 낮으나 생태계에 장기간 체류함으로써 복원을 저해하기도 한다.

현황

백사장 뒤쪽으로 송림(松林)이 우거져 있어 주로 하계수련장으로 이용된다. 해수욕장까지의 교통도 편리하며 호텔·여관 등 숙박시설도 갖추어져 있어서 매년 많은 피서객이 찾는다.

만리포해수욕장 주변에는 천리포수목원이 유명한데, 이는 귀화한 미국인 갈 밀러 씨에 의해 1979년에 설립된 한국 최초의 민간 수목원으로, 현재 약 15,000여 종류의 다양한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만리포해수욕장에는 해수욕장 전역을 관측하기 위해 해수욕장 북측에 철탑 형태의 모니터링 타워관측시스템을 설계하여 해빈관측용 비디오카메라 4대를 설치하여 연안침식 모니터링 을 실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환경복원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황경엽, 충남발전연구원, 2008)
『연안침식 모니터링 체계구축』(해양수산부, 2006)
『관광자원총람(觀光資源總覽)』(한국관광공사, 1985)
『한국의 발견·충청남도·』(뿌리깊은나무, 1983)
「충남 연안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지형 평가」(장동호·박지훈,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1,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조선 유류 유출사고 초기 대응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박병철·박소순·유병태, 『방재연구』 10·1, 2008)
「만리포 해빈퇴적물의 동절기 퇴적환경」(성효현·방경화, 『한국지형학회지』 12·2, 2005)
천리포수목원(http://www.chollipo.org/)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홍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