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누층군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개념
경상남북도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두께 약 8,000m의 강 또는 호수에 의해 형성된 지층.
목차
정의
경상남북도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두께 약 8,000m의 강 또는 호수에 의해 형성된 지층.
내용

중생대 쥐라기 말 주1 이후 주2에 들어와서 경상분지를 비롯하여 여러곳에 작은 퇴적분지가 형성되었으며 그곳에 화산활동을 수반하여 두꺼운 육성퇴적층이 형성되었다. 이 퇴적층은 한때 상부대동계(上部大同系)로 불리었으나 1940년대부터 경상계로 호칭되었고, 최근에는 경상누층군으로 불린다.

하부의 낙동통(洛東統)과 상부의 신라통(新羅統)으로 양분되며, 그 경계는 신라통 최하부에 있는 기저역암(基底礫岩)인 신라역암층이다.

경상누층군 구분의 기준을 화산활동에 두는 경우, 낙동통하부 및 중부를 신동층군(新洞層群), 그 상부와 신라통의 중부까지를 하양층군(河陽層群), 그 상부의 화산분출물을 주로 하는 부분을 유천층군(楡川層群)으로 한다. 장기홍(章基弘)은 경상누층군을 경상속(慶尙束, Kyungsang Synthem)이라 부르기로 제안하였다.

낙동층군의 구성 암석은 주3 · 사암 · 주4· 주5 · 적색이암 등으로 되어 있으며, 얇은 무연탄층을 협재하고 낙동식물군으로 알려진 식물화석과 담수의 연체동물 화석이 산출된다.

화산활동에 의한 응회암질 퇴적층은 칠곡층(漆谷層)의 중부에서부터 발견되기 시작한다. 낙동층군의 두께는 약 4,000m이다.

신라층군은 낙동층군을 평행부정합으로 덮으며, 구성 암석은 역암 · 잡색사암 · 적색이암 · 회색이암 · 주6과 용암류로 되어 있다.

식물화석을 포함하나 낙동식물군과는 내용이 다르며, 담수의 연체동물 화석이 많다. 신동층군의 분포는 경상남북도의 경상계 분포 지역 서연부에 거의 국한되어 있고, 강원도 횡성군 동북부에 좁게 분포한다.

평양 부근에서는 그 북서쪽에 분포된 대동계를 부정합으로 덮으며 북동∼남서로 대동계와 평행하게 분포한다. 하양층군은 경상남북도에 넓게 분포하며, 옥천대를 따라 충청북도 진천 부근, 영동 부근, 전라북도 전주 북동쪽 30㎞에서 남동쪽으로 전라남도 진도까지 분포한다.

이에 대비되는 대보통(大寶統)은 평양 부근 남포시와 황해도의 사리원 사이, 금천과 남천 사이, 평안북도 박천 부근, 평안북도 북동부의 자성과 후창 사이에 비교적 크게 분포한다. 유천층군의 분포는 경상북도 북동부와 남부, 경상남도 동부에서 남해안을 따라 전라남도 남해 · 서해안에 연속되어 전라북도 군산 가까이에 이른다.

참고문헌

「한반도 동남부의 백악계층서」(장기홍, 『대한지질학회지』 7-1, 1975)
『지질학개론』(정창희, 박영사, 1986)
주석
주1

중생대 쥐라기 때 한반도에서 일어났던 가장 큰 지각 변동. 화산 활동과 습곡 작용을 동반한 대규모 조산 운동이었다. 우리말샘

주2

중생대를 3기로 나누었을 때 마지막 지질 시대. 약 1억 4,5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우리말샘

주3

퇴적암의 하나. 크기가 2mm 이상인 자갈 사이에 모래나 진흙 따위가 채워져 굳은 것으로, 자갈이 전체의 30% 이상이어야 한다. 우리말샘

주4

점토(粘土)가 굳어져 이루어진 수성암(水成巖). 회색이나 검은 갈색을 띠며, 흔히 얇은 층(層)으로 되어 잘 벗겨지는 성질이 있다. 우리말샘

주5

석회질의 이판암. 우리말샘

주6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온 화산재 따위의 물질이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 우리말샘

집필자
정창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