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대흥사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해남 대흥사 응진전 전 삼층석탑
해남 대흥사 응진전 전 삼층석탑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3층 석조 불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해남 대흥사 삼층석탑(海南 大興寺 三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대흥사 (구림리) / (지번)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823, 산8-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3층 석조 불탑.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4.3m. 석탑의 위치는 응진전의 정면에서 조금 비켜난 곳으로 탑의 주위에 토담이 둘러져 있다. 1967년 1월 해체 수리 때 상층기단 내부의 자연석 판석 위에서 높이 12㎝, 무릎 너비 7.5㎝의 동조여래좌상(銅造如來坐像) 1구가 발견된 바 있다.

기단부는 4매로 짠 지대석 위에 하대와 중석(中石)을 한데 붙여서 4매의 긴 돌을 사용하여 하층 기단을 구성하였다. 중석은 각 면에 두 개의 탱주(撑柱: 받침기둥)와 네 개의 우주(隅柱: 모서리기둥)를 새겼고, 1매석의 갑석은 윗면에 뚜렷하게 경사를 내고 우동(隅棟: 옥개석의 귀마루) 역시 분명하게 표현되었다. 그 윗면에는 호형(弧形)과 각형(角形)의 상층 기단 굄을 나타내었다.

상층 기단 중석은 각 면에 1매씩 4매의 판석을 돌렸고 우주와 탱주를 하나씩 모각하였다. 1매 판석의 갑석은 밑에 부연(副椽)이 있고 상면은 경사를 나타낸 중앙에 각형으로 2단의 굄을 마련하여 탑신을 받치게 하였다.

탑신부는 각 층의 옥신(屋身)과 옥개(屋蓋)가 별석으로 되었고 옥신은 층마다 네 우주가 모각되어 있다. 옥개석의 받침은 각 층 4단이며 추녀의 밑은 직선이다.

낙수면의 경사는 보통이나, 전각에는 경쾌한 곡선을 그려 시대의 하강을 나타낸다. 옥개 상부 중앙에는 각형 2단의 받침이 있어 옥신을 받치고 있다. 2층 옥신은 높이가 줄어든 데에 비하여 너비는 그다지 줄어들지 않았다.

3층 옥개석 상부에는 노반(露盤)과 그 위에 복발(覆鉢)·앙화(仰花)·보륜(寶輪) 등의 상륜부(相輪部)가 남아 있다. 복발은 일반적인 편구형(扁球形)이고 앙화는 팔각형으로 화엽을 세우고 그 아래 횡대를 돌려 결속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석탑의 양식은 부분적으로 간략화되고 있으나, 신라석탑 양식의 전형적인 구조를 잘 나타내고 있으며 결구수법 역시 착실하다. 각 부의 조각수법은 세련되고 정교하며 그 건립 연대는 신라 하대로 추정되고 있다.

이 석탑은 대둔산 정상 부근에 세워진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과 함께 신라 하대에 이르러 신라석탑 양식이 반도의 서남단 지방에까지 전파되었음을 알려주는 점이 주목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4 보물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대흥사』한국의 사찰 10(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7)
집필자
장충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