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경 ()

목차
관련 정보
국악
작품
종묘제례악 중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의 두번째 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종묘제례악 중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의 두번째 곡.
내용

아헌례와 종헌례에 연주되며 정대업지악의 두번째 곡으로 제1변이다. 일무(佾舞)는 무무(武舞)가 추어지고, 헌가(軒架)에서 음악을 아뢴다.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작되었으나 세조 때 개작, 축소되어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된 뒤 현재에 이른다. 곡명 ‘독경’은 노래말 중 ‘휼독기경(遹篤其慶)’에서 따온 말이다.

목조(穆祖)의 무공(武功)을 노래한 곡으로, 원래 4언 12구의 한시였으나 현재는 4언 4구로 불린다. 원문과 우리말 번역은 다음과 같다.

아아 위대하고 거룩한 목조께옵서,

친히 북쪽지방에 출정하시도다.

이에 그 선치(善治)하는 데 힘쓰시니,

우리 왕업의 시초를 닦았도다. (於皇聖穆 建牙于朔 遹篤其慶 肇我王迹)

창작 당시에는 남려궁계면조(南呂宮界面調)였으나 세조 때 황종궁계면조(黃鐘宮界面調)의 5음음계로 고쳐져 현재에 이른다. 그러나 개작할 때 노래말과 곡을 축소하고 조만 바꾼 것은 아니다.

즉, 현재의 「독경」은 세종 때 「독경」의 음악을 버리고, 당시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의 「계우(啓宇)」를 축소한 「기명(基命)」을 평조(平調)에서 계면조로 바꾸어 만든 곡이다. 노랫말 매구의 끝에 박(拍)이 한 번 들어간다.

옛 악보에 보이는 장단은 보태평의 「계우」·「발상(發祥)」의 11곡 중 9곡, 「여민락(與民樂)」에서 보이는 장단과 같이 박 넷이 모여 한 장단을 이루고, 리듬도 16정간 1행에 규칙적으로 노랫말 1자가 들어가는 정형(定型)이었으나, 현재는 장단이나 리듬 모두가 불규칙적이다.

종지형은 하일(下一)에서 하오(下五)로 이르는 하강종지형이다. 의식이 길므로 반복될 때는 처음부터 반복하지 않고 「독경」에서부터 반복한다. 『세종실록』 악보, 『대악후보(大樂後譜)』·『속악원보(俗樂源譜)』·『시용무보(時用舞譜)』 등에 악보로 전하고 있다. → 정대업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대악후보(大樂後譜)』
『속악원보(俗樂源譜)』
『시용무보(時用舞譜)』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의 음악적고찰(音樂的考察)」(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