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금척 ()

목차
관련 정보
무용
작품
조선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이칭
이칭
금척
목차
정의
조선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내용

조선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일명 「금척」이라고도 한다.

조선 태조정도전(鄭道傳)이 태조의 공덕을 칭송하기 위해 만든 악장(樂章)인 「몽금척」을 춤으로 꾸민 것이다. 악장은 태조가 주1에 있을 때 꿈에 신령이 금자〔金尺〕를 주면서 “이것을 가지고 국가를 정제하시오.”라고 한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악장을 만든 뒤 태조가 이를 가상히 여겨 정도전에게 채색비단을 내리고 악공에게 익히게 하였다.

춤으로 꾸며진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1402년(태종 2) 6월 예조의례상정소가 함께 조회와 연향악의 용악절도(用樂節度)를 정하였을 때 『고려사』에 전하는 「오양선(五羊仙)」 · 「무고(舞鼓)」등의 정재와 함께 「몽금척」 · 「수보록(受寶籙)」 등이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때 이미 춤으로 추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뒤 「금척」이라는 이름으로 『악학궤범』에 그 주2가 전하는데, 주3 2인, 주4 · 금척 · 주5 각 1인과 춤 12인 등, 총 17인으로 구성되고, 따로 주6 · 주7 등의 의물을 든 20여 인이 거들어 위의를 더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 오면 다시 「몽금척」으로 환원되고, 『악학궤범』에서 보이는 호화스러운 의물도 완전히 배제되고 있다.

『악학궤범』에 전하는 춤의 절차를 보면 음악이 수령지곡(壽寧之曲:步虛子 令)을 연주하면 족자 1인과 죽간자 2인이 족도하면서 나란히 나아가 “봉정부지영이(奉貞符之靈異) 미성덕지형용(美盛德之形容) 기차우용(冀借優容) 식부연예(式孚宴譽).”라고 구호한다.

다음에 박을 치면 향당교주(鄕唐交奏)를 연주하고 죽간자 2인이 족도하며 물러서고 족자는 그대로 선다. 또, 박을 치면 좌우 제1대가 나아가 족자 좌우에 갈라서고 이어서 차례로 제6대까지 앞으로 나와서 좌우로 갈라선다.

다음 금척인이 “몽금척 수명지상야(夢金尺受命之祥也)…….”라고 주8를 창한다. 그 다음 6대 12인의 무원(舞員)이 악절(樂節)에 맞추어 “유황감지공명혜(惟皇鑑之孔明兮) 길몽협우금척(吉夢協于金尺)…….”의 금척사를 창한다.

이어서 6대 12인이 그 노래를 세 번 창하면서 진퇴한다. 다음 주9를 세 차례 하고 다시 악절에 맞추어 ‘성인유작(聖人有作) 만물개도(萬物皆覩)’의 창사를 한다.

다시 회무하고 회선이 끝나면 각기 제자리에 돌아와 처음 대열대로 서고, 죽간자의 구호가 있다. “악기주어구성(樂旣奏於九成) 수용헌어만세(壽庸獻於萬歲).”의 구호가 끝나고 박을 치면 음악은 주10을 연주하고, 죽간자 · 족자 · 금척 · 황개 등이 먼저 물러나고 이어 무원 12인이 앞으로 나갔다가 염수하고 물러나면 을 쳐서 음악을 그치게 하고 춤이 모두 끝난다.

참고문헌

『태조실록』
『태종실록』
『악학궤범』
『진작의궤(進爵儀軌)』(순조 무자)
『진찬의궤(進饌儀軌)』(순조 기축)
『진찬의궤(進饌儀軌)』(헌종 무신)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고종 계사)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9)
『국역악학궤범』(민족문화추진회, 1980)
주석
주1

나라를 세우거나 임금의 친족에 들어와 임금이 된 사람의, 임금이 되기 전의 시기. 또는 그 시기에 살던 집. 우리말샘

주2

궁중 춤의 모든 의식 절차를 통틀어 이르는 말. 춤의 절차, 동작의 변화, 노래, 구호, 옷, 의물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3

정재(呈才) 때 사용하는 무구(舞具)의 하나. 붉은 나무 자루 위에 가는 대 100개를 꽂고 붉은 실로 엮어 수정 구슬을 달아서 장식하였다. 우리말샘

주4

그림이나 글씨 따위를 벽에 걸거나 말아 둘 수 있도록 양 끝에 가름대를 대고 표구한 물건. 우리말샘

주5

노란색 사(紗)로 양산처럼 만든 의장. 우리말샘

주6

의장(儀仗)의 하나. 진연 의례(進宴儀禮) 등 왕실 의례 때 연주되는 당악 정재에서 쓰인다. 대나무로 자루를 만드는데 주칠(朱漆)을 하고 정자(頂子)는 나무로 만든다. 우리말샘

주7

사자(使者)가 들고 가던 의장(儀仗). 당악(唐樂)의 정재(呈才) 때에도 썼다. 우리말샘

주8

경사가 있을 때에 임금에게 올리던 송덕(頌德)의 글. 우리말샘

주9

정재(呈才)의 수보록무, 무고무 따위의 출연자 전부가 원형을 지으며 추는 춤. 우리말샘

주10

궁중 연례악의 하나로, 오양선정재(五羊仙呈才), 수보록정재(受寶錄呈才), 수명명정재(受明命呈才), 향발정재(響鈸呈才) 등을 공연하거나, 학무(舞鶴)ㆍ연화대(蓮花臺)ㆍ처용무를 함께 공연할 때 사용하던 악곡. 우리말샘

집필자
성경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