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지(心地)는 신라 헌덕왕의 아들이다. 그는 어릴 때부터 효심이 지극하였고 우애가 깊었으며 천성이 맑고 슬기로웠다고 한다. 15세에 머리를 깎고 출가하여 부지런히 불도를 닦았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심지에 관한 몇몇 일화가 전한다. 심지가 중악(八公山)에 머무르고 있을 때였다. 그는 속리산의 영심(永深)이 진표율사(眞表律師)의 불골간자(佛骨簡子)를 전해 받아 과증법회(果證法會)를 연다는 말을 듣고 찾아갔다. 하지만 이미 날짜기 지난 뒤라 참석을 허락받지 못하였다. 이에 심지는 땅에 앉아 마당을 치면서 여러 무리를 따라 예배하고 참회하였다. 심지의 예참이 일주일을 지났을 무렵 큰 눈이 내렸는데, 그가 섰던 곳의 사방 열자 남짓 되는 곳에는 눈이 나부꼈지만 내리지 않았다. 주변 승려들이 신기하게 여겨 당(堂)에 오르기를 청하였지만, 심지는 병을 핑계 대고 사양하면서 방으로 물러나 불당을 향해 조용히 예배하였다. 그의 팔꿈치와 이마에서는 피가 흘러, 마치 진표율사가 선계산(仙溪山)에서 정진할 때와 같았다. 심지는 법회가 끝나 본산(本山)으로 돌아가는 도중에 간자(簡子) 두 개가 옷깃 사이에 끼어 있는 것을 보았다. 그는 이것을 가지고 돌아와 영심에게 알리자 영심이 말하였다. “간자는 함 속에 있는데 그럴 리가 있는가?” 함을 찾아보니 아무런 변화가 없었지만 열어보니 과연 간자 두 개가 없었다. 영심은 이것을 매우 이상하게 여겨 간자를 거듭 싸서 함 속에 넣어 두었다. 심지가 길을 가다 보니 간자는 여전히 옷깃에 붙어 있었다. 이 때문에 다시 돌아가 이야기하였다. 이에 영심은 부처의 뜻이 심지에게 있다고 말하고 간자를 넘겨 주었다.
심지가 돌아오자 중악의 산신이 두 신선을 거느리고 그를 영접하였다. 이들은 심지에게 정계(淨戒)를 받았다. 심지가 말하였다. “지금 적당한 땅을 가려서 이 부처님의 간자를 봉안하려 합니다. 청하건대 세 분과 함께 산에 올라가 간자를 던져 정합시다.” 심지가 산신들과 함께 산봉우리에 올라가 서쪽을 향해 간자를 던지니 바람에 날려갔다. 간자가 날아간 곳을 찾아 그 자리에 불당을 짓고 봉안하였는데, 『삼국유사』에서는 “지금의 동화사 첨당(籤堂) 북쪽에 있는 작은 우물이 바로 그곳이다.”하였다.
이후로 심지는 동화사를 중심으로 해서 유식 법상(唯識法相)의 가르침을 전하였다. 그 뒤의 행적은 자세히 전해지지 않는다. 신라의 태현(太賢)이 유가(瑜伽)의 초조로서 기반을 다진 이후 진표가 유식 법상의 가르침을 전하였다. 진표의 가르침은 영심에게 이어졌고 영심의 법은 심지에게 계승되어 고려로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