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득공 ()

유득공 글씨
유득공 글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경도잡지』, 『발해고』, 『이십일도회고시』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혜보(惠甫), 혜풍(惠風)
영재(泠齋), 고운당(古芸堂)
이칭
영암(泠庵)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48년(영조 24)
사망 연도
1807년(순조 7)
본관
문화(文化)
주요 관직
규장각검서|풍천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경도잡지』, 『발해고』, 『이십일도회고시』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혜보(惠甫)·혜풍(惠風), 호는 영재(泠齋)·영암(泠庵)·고운당(古芸堂). 아버지는 사인(士人) 유춘(柳瑃)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74년(영조 50) 사마시에 합격해 생원이 되고, 시문에 뛰어난 재질이 인정되어 1779년(정조 3) 규장각검서(奎章閣檢書)로 들어가 활약이 컸다. 그 뒤 제천·포천·양근 등의 군수를 거쳐 말년에는 풍천부사를 지냈다.

저서로는 『경도잡지(京都雜志)』·『영재집(泠齋集)』·『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앙엽기(盎葉記)』·『사군지(四郡志)』·『발해고(渤海考)』·『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등이 있다.

특히 『경도잡지』는 조선시대 시민 생활과 풍속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서적이며, 『발해고』는 유득공의 학문의 깊이와 사상을 규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저서이다. 규장각검서로 있으면서 궁중에 비장된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일본의 사료까지도 읽을 기회가 많아, 이러한 바탕에서 나온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내용은 오늘날의 학문 수준으로 보아 높이 평가할 수는 없으나, 서문에서 “고려시대의 역사가들이 통일신라를 남조로, 발해를 북조로 하는 국사 체계를 세우지 않았던 것이 영원히 옛 땅을 되찾는 명분을 잃게 하였다.”고 주장해 민족주체의식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 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나 민족주체의식의 확립에 노력한 모습은 『이십일도회고시』에서도 잘 보여준다. 단군조선에서 고려에 이르기까지 4,000년에 걸쳐 우리 민족이 세운 나라의 21개 도읍지의 전도(奠都) 및 번영을 읊은 43편의 회고시에는, 거듭되는 역사의 수레바퀴 속에서 민족의 주체 의식을 되새겨보려는 역사 의식이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시는 청나라의 이조원(李調元)·반정균(潘庭均)으로부터 재기종횡(才氣縱橫: 재주와 기백이 활발함), 재정부유(才情富有: 재주가 많음)하다는 평가를 받았을 정도였다.

참고문헌

『사마방목(司馬榜目)』
『발해고(渤海考)』
『한국사의 재발견』(천관우, 일조각, 1974)
「영재유득공」(이용범, 『이을호박사정년기념실학논총』, 전남대학교호남문화연구소, 1975)
『古鮮冊譜』(前間恭作, 東洋文庫, 194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