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제비 및 군수 이후범선 영세불망비 ( )

목차
관련 정보
이공제비 및 군수 이후범선 영세불망비
이공제비 및 군수 이후범선 영세불망비
서예
유적
문화재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있는 조선후기 대구지방 수령을 지낸 이서와 이범선 관련 기적비.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있는 조선후기 대구지방 수령을 지낸 이서와 이범선 관련 기적비.
내용

1988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공제비는 정조 때 대구 판관(判官)이었던 이서(李溆)의 치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송덕비(頌德碑)이다.

이 당시 대구분지(大邱盆地)를 관류했던 하천은 지금과는 달리 용두산-수도산-동산-달성공원앞-금호강으로 흘렀기 때문에 홍수 때마다 큰 피해를 입었는데, 이서가 부임하여 사재를 털어 1778년(정조 2)에 물길을 돌려 새로이 제방을 축조하였다.

이에 감읍한 주민들이 제방이름을 ‘이공제’라 하고 그 해 8월에 비를 세웠다. 그러나 그 뒤 없어진 것을 1797년에 다시 세우고 1805년(순조 5)에 그 공덕을 기리기 위해 또 다른 비를 세워 현재까지 전한다.

‘군수이후범선영세불망비’는 이범선이 대구지방 수령 재직 당시인 1898년에 큰 홍수가 나 이공제의 하류 부분이 유실되어 대구읍성이 위험하게 되자, 공은 민폐를 끼치지 않고 그 보수공사를 단시일에 완성하여 백성의 근심을 덜어주었다. 이에 그 이듬해 백성들이 이 비를 세워 이공제비와 함께 보호해 왔다.

참고문헌

『대구시사』5(대구시사편찬위원회, 대구광역시, 1995)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