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원마수리농요 ()

목차
관련 정보
중원 마수리 농요
중원 마수리 농요
국악
작품
문화재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마수리 마제(馬蹄)마을에서 전승하고 있는 충주평야지대의 농요.
목차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마수리 마제(馬蹄)마을에서 전승하고 있는 충주평야지대의 농요.
내용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마수리마제(馬蹄)마을에서 전승하고 있는 충주평야지대의 농요. 1994년 충청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94년 12월에 지정되었다. 마수리농요는 강원도 농요의 영향권에 있으면서 아라성, 대허리 및 절우자 등 중원(中原) 색채를 띠는 농요이다.

마수리농요의 선소리꾼인 지남기(池南基, 池基先으로도 통함)는 1926년 괴산군 불정면 웅동리에서 태어나 15세엔 음성군에서 머물었고, 16세에 충주시 주덕면 신양리로 이주 후 계속 충주시에 거주하는바, 28세 이래로는 마제에서 살고 있다.

마수리농요는 모찔 때의 절우자소리, 모심을 때의 아라성, 논맴소리들인 긴방아 · 중거리방아 · 자진방아 · 어화굼실 대허리야와 방아 찧으면서 부녀자들이 부르는 긴방아(덜커덩 찧는 방아) · 중거리방아 · 자진방아 및 퇴비용 갈참나무 등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부르는 '갈뜯는 노래'로 구성된다. 마수리농요는 1972년도 전국 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절우자는 경상도 모노래 지대의 잦은 모찌기 소리인 ‘조루자’와 관계가 있는 중원형(型)이며, 더 느린 속도로 가창된다. 그 받음구는 “절우자 절우자 이 모자리를 절우자”이다.

아라성은 아라리류(類)의 모심는 소리에 속하며, 강원도아리랑(자진아라리가 아닌, 느릿하며 가장 오래된 아리랑)에서 변화된 중원형으로, 그 받음구는 “아라리야 아라리요 아리랑 얼싸 아라성아”이다.

논맬 때의 긴방아는 더욱 길고 유장하여 받음구에서 ‘방아’라는 어휘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그 특징인데 비해, 중원마수리농요의 그것은 “에-이-, 에-라-, 방-아오-우”해서 ‘방아’를 들어낸다든지, 또는 “에-이-, 에-라-, 아-오-우”하는 정도이다.

중거리방아와 자진방아의 받음구는 모두 “에이여라 방아호”이고 후자는 보통 속도의 3분박 4박 1마디씩 메기고, 받음에 비해 전자는 조금 더 느린 속도로 불리는 점이 다르다.

대허리(단허리)는 단숨에 논지심을 매자고 독려하는 소리로 강원도 영서지방과 충주시가 그 중심권을 이루며, 괴산 · 음성 · 진천군 일부 지역 및 남부 · 동부 경기도와 충청남도 일부 지역에까지 전파되어 있다. 받음구는 “어화 굼실 대허리야”이다. 충주시는 단허리보다 대허리가 지배적이다.

절구방아 찧는 작업에서 부르는 덜커덩 찧는 방아는 자진 아라리곡에 얹어 부르며, 중거리방아 · 자진방아의 받음구는 “어(허) 유아 방아요”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농요』 1(이소라, 민속원, 1985)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이소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