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한 54소국(小國) 중 하나이다.
『삼국지(三國志)』 위서 동이전 한조(韓條)에는 우리 나라 고대 삼한의 여러 소국 이름이 열거되어 있다. 이들 나라 이름은 당시의 중국 상고음(上古音)에 따라 한자로 표기되어 있는데, 중국 고대의 북방음은 현행 우리 한자음에 가까우므로 이들 나라의 위치 비정에 많은 도움이 된다.
‘초산도비리국’의 ‘초(楚)’는 중국 고대음이 ‘tsiwo’이고, 북경음이 ‘tsu’이다. ‘산(山)’은 중국고대음이 ‘san’이고, 북경음 역시 ‘san’이다. ‘도(塗)’는 중국고대음이 ‘duo’이고, 북경음이 ‘tu’이다. ‘비(卑)’는 중국고대음이 ‘pjie’이고, 북경음이 ‘pei’이다. ‘리(離)’는 중국고대음이 ‘ljie’이고, 북경음이 ‘li’이다.
그리고 ‘비리(卑離)’는 ‘평야’ㆍ‘읍락’ 등의 뜻으로서, 흔히 나라 이름 끝에 붙어 있는 백제의 ‘부리(夫里)’, 신라의 ‘벌(伐)’ㆍ‘불(弗)’ㆍ‘화(火)’ 등과 같은 범주에 속하는 말이다. 또한, 이름이 이례적으로 긴 것으로 보아 ‘초산국’과 ‘도비리국’의 두 나라로 나누어 보는 견해도 있다.
『삼국지(三國志)』의 마한 소국에 대한 기록 순서로 보아, 이는 지금의 전라도지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백제의 ‘정촌현(井村縣)’이었던 ‘정읍(井邑)’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초산(楚山)’이라고도 하였으므로,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에 비정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와는 달리,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으로 비정하는 견해도 있다.
청동기 내지는 초기철기문화를 배경으로 성립하여 독자적인 지배세력과 지배기구를 토대로 개별적인 성장을 지속하다가, 4세기 중엽을 전후하여 백제에 복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마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