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속소학 판목 ( )

목차
관련 정보
해동속소학 판목
해동속소학 판목
출판
유물
국가유산
1884년(고종 21) 박재형(朴在馨)이 지은 『해동속소학』의 판목.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해동속소학판목(海東續小學板木)
분류
기록유산/서각류/목판각류/판목류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5년 10월 15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청도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84년(고종 21) 박재형(朴在馨)이 지은 『해동속소학』의 판목.
내용

1985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박재형은 실학파 인물로, 재래의 우리나라 자녀교육에 『자양소학(紫陽小學)』이 중심이 되고 있는 점을 비판하고 자주적 입장에서 우리 나라 명유(名儒) 등의 가언(嘉言) · 선행(善行) 등의 예를 들어 편찬하였다.

이것은 단순한 유교적 도덕원리로서의 연역적 적용에 입각해서 발상된 것이 아니라 닥쳐올 한말 민족위기의 실감적 파악에 의해 눈앞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중국인의 가언선행(嘉言善行)보다 우리나라 전인(前人)의 실천적 선행에 바탕을 두고 인격을 형성하도록 하는 위기(爲己)의 실학사상에 입각한 것이었다.

이 목판은 128매로 소학도(小學圖) 1매, 서 3매, 목차 5매, 본문(권1∼권6) 118매, 허전(許傳)의 발(跋) 1매로 되어 있다. 경상북도 청도군 밀양박씨 성경당 문중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용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