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촌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장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경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장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경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7대손 철순(喆淳)·태순(台淳) 등이 편집하여 1920년경에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영한(金寗漢)·조장섭(趙章燮)·허병(許炳) 등의 서문이, 권말에 태순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사(詞) 1편, 시 158수, 권2에 서(書) 5편, 기(記) 3편, 묘갈문 1편, 상량문 2편, 제문 8편, 유사 1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문·제문·만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부사(賢婦詞)」는 고모의 3대손 김륜(金碖)의 부인 이씨(李氏)의 덕행을 칭송한 작품이다. 시는 증여시·차운시·만시가 상당히 많다.

서(書)의 「상부백조위수서(上府伯趙渭叟書)」는 남원에 있던 고룡서원(古龍書院)의 보수를 부사 조위수에게 청원한 내용이며, 「상어사김시걸천진생서(上御史金時傑薦晉生書)」는 고을에서 덕행이 뛰어난 진수경(晉壽卿)을 발탁하여주기를 청원하는 글이다.

그리고 「위가군답우수사이빈서(爲家君答右水使李䎙書)」·「답최내심서(答崔乃心書)」등은 여러 일상적인 사연을 담은 서신이다.

「고마청조약후기(雇馬廳條約後記)」는 부사 조위수를 대신하여 지은 글로, 말을 사들이는 데 관리나 백성이나 모두가 불편한 실정을 감안하여 고마청을 세우고 엄격한 규칙을 세우면, 서로 편리하게 될 뿐 아니라 사사로움이 개입하지 못하게 방비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고룡서원중수시사기(古龍書院重修時事記)」·「고암서원상량문(高巖書院上樑文)」·「고암서원개기문(高巖書院開基文)」 등은 서원에 관한 사료가 된다. 그 밖에 증조부 경세(經世)의 묘갈문과 「환성암진선생봉안문(喚醒菴陳先生奉安文)」 등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