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수정전 (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경복궁 수정전 정면
서울 경복궁 수정전 정면
건축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 구내에 있는 조선후기 재건 전각. 보물.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 구내에 있는 조선후기 재건 전각. 보물.
내용

정면 10칸, 측면 4칸의 익공계(翼工系) 팔작기와지붕건물. 세종 때 집현전으로 쓰이던 건물로서,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고종 때 재건되면서 건물 명칭이 바뀌었다.

근정전의 서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경회루의 바로 남쪽 정면에 위치하고 있다. 세종 때에는 여기에 왕실의 도서를 비치하고 집현전의 학사들이 주야로 글을 읽었다.

세조 때 예문관이 되었다. 1867년(고종 4)에 재건되어 한때는 갑오개혁을 추진하는 군국기무처 청사로 쓰이기도 하였으나 기관이 폐지되면서 그 용도가 계속되지는 않았다. 1895년 1월에는 내각의 청사로 이용되었다. 1966년에는 한국민족관으로 임시로 이용된 적도 있다.

지금은 건물 한채만 홀로 남아 있으나 고종 때에는 주변에 200칸 가까운 행각(行閣)들이 있었고, 이웃하여 대전장방(大殿長房) · 내반원(內班院) · 수라간(水刺間) · 정원(政院) · 빈청(賓廳) · 선전관직방(宣傳官直房) · 검서청(檢書廳) · 옥당(玉堂) · 약방 · 의관방(醫官房) · 내각(內閣) 등의 전각들이 영추문(迎秋門)에 이르기까지 즐비하게 자리잡고 있었다.

이들 주변 건물은 1910년 이후 일본인들에 의하여 모두 철거되었다. 건물은 높고 넓은 월대(越臺 : 기단) 위에 세워졌으며, 사분합의 창이 설치되고 겹처마에 지붕 각 마루에는 취두(鷲頭 : 매 머리모양의 장식) · 용두(龍頭) · 잡상(雜像)이 설치되어 있다.

건물의 형태는 조선 후기의 일반적인 궁실의 격식을 취하고 있으며, 경복궁내의 얼마 남지 않은 목조 유구의 하나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고궁건축』(신영훈 외, 열화당, 1988)
집필자
김동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