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지 ()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백제 제22대 문주왕(文周王)의 아우.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477년
주요 관직
내신좌평
내용 요약

곤지는 문주왕의 아우이자, 동성왕의 아버지이다. 곤지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 『송서(宋書)』, 『일본서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461년에는 왜국으로 파견되었다가 귀국 후 내신좌평에 임명되지만, 3개월 만에 의문의 죽임을 당한다. 곤지의 역할과 동향을 통해 백제계 도왜인의 흔적과 웅진 천도 이후 왕위 계승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정의
삼국시대 백제 제22대 문주왕(文周王)의 아우.
가계 및 인적 사항

곤지(昆支)는 22대 문주왕의 아우이자 24대 동성왕의 아버지이다. 곤지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 『송서(宋書)』, 『일본서기』 등 한국과 중국, 일본의 역사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곤지가 그만큼 비중이 있었던 인물임을 말해 준다.

주요 활동

『송서』 「백제전」에 따르면, 개로왕은 458년(개로왕 4) 중국 송나라에 11명의 신하에게 작호를 내려줄 것을 요청하였는데, 이때 정로장군(征虜將軍) 좌현왕(左賢王) 여곤(餘昆)이 바로 곤지로 추정된다. 신하 11명은 개로왕의 즉위에 도움을 준 이들로, 그 가운데에서도 곤지에게 최고위직인 좌현왕 제수를 요청하였다는 점에서 큰 공훈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

좌현왕은 흉노에서 보이는 직책으로 선우를 이을 수 있는 왕위 계승의 우선권을 가지며, 군사권을 가졌다. 곤지 또한 군군(軍君)이라 불렀다는 점에서 흉노의 좌현왕과 비슷한 지위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곤지의 서열이 개로왕의 뒤를 이은 형인 문주왕보다 높았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곤지는 461년 왜국으로 파견되는데, 파견 이유는 고구려의 남침 때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는 청병사로 본다. 또한, 곤지를 왕권의 핵심에서 배제하려는 정략적 추방설도 제기되었다. 더불어 곤지가 가족을 데려간 점, 정착한 곳이 도읍인 야마토〔大和〕가 아닌 가와치〔河內〕라는 점에 주목하여 백제계 이주민들을 규합하여 왜와 군사적 협력체제를 구축하였다는 견해도 있다.

곤지는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의 가와치 아스카베노미야스코조〔河內飛鳥戶造〕의 선조이며, 가와치 아스카베노미야스코〔河內飛鳥戶〕 신사의 제신(祭神)이라는 점에서 그의 후예 씨족들이 지금의 가와치 아스카군〔河內安宿郡〕 일대에서 번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신사 뒤편의 산에 아스카센즈카〔飛鳥千塚〕라 불리는 수백 기의 백제계 주1이 분포하고 있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곤지가 귀국한 시점은 명확하게 드러나 있지 않지만, 477년 문주왕이 내신좌평으로 임명하였던 것으로 보아 이를 전후로 한 시기에 귀국하여 웅진에 입성하였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내신좌평에 임명된 지 3개월 만에 의문의 죽임을 당한다. 곤지의 죽음에 관해서는 검은 용이 출현한 직후 사망한 것으로 기술되어 웅진 천도 초기에 약화한 왕권과 정국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정국의 희생양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참고문헌

논문

정재윤, 「가와치 지역의 백제계 도왜인(渡倭人)」(『동북아역사논총』 52, 2016)
정재윤, 「百濟 王族의 倭 派遣과 그 성격 -昆支를 中心으로-」(『百濟硏究』 47, 2008)
鄭載潤, 『熊津時代 百濟 政治史의 展開와 그 特性』(서강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9)
연민수, 「5세기 후반 백제와 왜국 -곤지(昆支)의 행적과 동성왕의 즉위 사정을 중심으로-」(『일본학』 13, 1994)
李道學, 「漢城末 熊津時代 百濟王位繼承과 王權의 性格」(『한국사연구』50 · 51, 1985)
주석
주1

깬돌로 널을 안치하는 널방(玄室)을 만들고 외부로 통하는 널길(羨道)를 만든 뒤 흙으로 씌운 무덤 양식.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