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따는 콩밭 ( 따는 콩밭)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작품
김유정(金裕貞)이 지은 단편소설.
정의
김유정(金裕貞)이 지은 단편소설.
개설

1935년 3월 『개벽(開闢)』에 발표되었으며, 같은해에 발표한 작가의 다른 소설 「금」ㆍ 「노다지」 그리고 1937년에 발표한 「연기」와 더불어 당시 시대상황을 반영하여 금 모티프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내용

가난한 소작인에 불과한 주인공 영식은 금을 찾아다니는 수재의 감언이설을 그대로 믿고, 수재와 함께 콩이 한창 자라는 콩밭을 파기 시작한다. 이 콩밭이 있는 바로 산 너머 큰 골에 큰 광산이 있고, 또 궁핍한 농촌생활을 면하고자 하는 욕구와 생태가 꽉 차 있는 속에서, 일확천금의 꿈이 비록 허황된 것이라 할지라도 금이 나오는 요행을 기대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아내는 아내대로, 돈이 판을 치는 세상에서 가난을 면한다는 꿈에 이끌리지 않을 수 없어 남편을 부추긴다. 그래서 애써 가꾼 콩밭을 거덜 내면서 땅을 파기 시작하자 동리의 노인은 이를 비난한다. 그러나 부부는 이웃에서 양식을 꾸고 떡을 해서 주1를 드린다. 가을이 되어도 금맥은커녕 빌린 양식마저 갚을 수 없게 되자 아내는 불안해하고 초조해한다.

그럴 때마다 남편 영식은 아내를 구타하고 질책한다. 그러자 속인 것이 불안해진 수재는 파낸 흙 속에서 불그죽죽한 황토 한 줌을 움켜내어 영식 부부에게 이게 바로 한 포대에 오십 원씩 하는 금이라고 속이면서 거짓말을 하고는 그날 밤으로 꼭 달아나리라고 결심을 한다.

의의와 평가

금이나 돈은 인간 욕망의 기호와 추구하고 소유하고자 하는 가치의 대상이며 부의 표상인 동시에, 파멸의 길로 통하는 마신의 미끼와도 같은 양가성(兩價性)을 지니고 있다. 이 작품은 이런 돈을 무모하게 획득하려는 주인공의 어리석은 탐욕과 허망한 망상을 그림으로써 탐욕의 무망함을 깨우치고, 아울러 그런 인간의 어리석음을 희극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그러면서도 이를 날카로운 풍자로써 해부한 것이 아니라 연민을 동반한 해학으로 변용시키고 있다.

한편, 이런 해학적인 변용과 굴절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에는 1930년대 농촌의 삶의 현실이 적지 않게 반영되어 있다. 농촌생활의 궁핍 현상과 가난의 상태를 벗어나서 일확천금을 얻으려는 들뜨고 경박한 삶의 양식이 현실로 보편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

『우리문학은 어디에서 왔는가: 원천·지속·변화의 문학적 주제론』(이재선, 소설문학사, 1986)
『한국현대소설사』(이재선, 홍성사, 1979)
「김유정 '금 모티프' 소설 연구」(최경아,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금따는 콩밭'의 중층성과 문제성」(전흥남, 『한국언어문학』49, 한국언어문학회, 2002)
주석
주1

산신령에게 드리는 제사.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