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사형 ()

조선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개성윤, 지문하부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해 조선 건국 이후에는 판문하부사, 좌정승 등을 역임한 문신 · 공신.
이칭
평보(平甫)
낙포(洛圃)
시호
익원(翼元)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41년(충혜왕 복위 2)
사망 연도
1407년(태종 7)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문하우시중|좌정승
관련 사건
위화도회군|윤이 이초의 옥|제1차 왕자의 난
정의
고려 후기에, 개성윤, 지문하부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해 조선 건국 이후에는 판문하부사, 좌정승 등을 역임한 문신 · 공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평보(平甫), 호는 낙포(洛圃). 고조는 김방경(金方慶)이고, 할아버지는 김영후(金永煦)이며, 아버지는 부지밀직사사 김천(金蕆)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음보로 앵계관직(鶯溪館直)이 된 뒤 감찰규정(監察糾正)을 거쳐,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해 조준(趙浚) 등과 함께 대간을 지냈다. 뒤에 개성윤(開城尹)이 되어 보리공신(輔理功臣)의 호를 받았다.

이성계(李成桂)가 위화도회군을 단행한 뒤, 교주강릉도도관찰출척사(交州江陵道都觀察黜陟使)로 나갔고, 1390년(공양왕 2) 지밀직사사 겸 대사헌이 되고 이어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로 승진하였다.

1390년 윤이(尹彛)·이초(李初)의 옥이 있은 뒤 그 당을 둘러싸고 찬성사(贊成事) 정몽주와 대결하고 서로 탄핵하였다. 삼사좌사(三司左使)·동판도평의사사(同判都評議司事)로 있다가 여러 장상들과 함께 이성계를 추대해 개국공신 1등에 봉해지고, 문하시랑찬성사 겸 판상서사사 겸 병조전서응양상장군(門下侍郎贊成事兼判尙瑞司事兼兵曹典書鷹揚上將軍)에 올랐다.

같은 해 12월 문하우시중에 제수되고, 상락백(上洛伯)의 작위와 식읍 1,000호 및 식실봉(食實封) 300호를 받았다. 1396년(태조 5)에 오도병마도통처치사(五道兵馬都統處置使)가 되어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1398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 때, 백관을 거느리고 대궐에 가 적장(嫡長)을 후사로 세울 것을 요청해 정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1399년(정종 1) 등극사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이듬해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 1401년 좌정승에 임명되고 이듬해 영사평부사를 지낸 다음,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진 뒤 관직에서 물러났다.

개국공신 중에서는 배극렴(裵克廉) 다음으로 지위가 높았던 고려의 원로 구신이며, 가문이 귀하고 높았으며 마음이 청고해 이성계가 아꼈다고 한다. 조준과 함께 8년간 재상의 지위에 있었으나 정사는 모두 조준이 결단하였다. 대신 말을 신중히 하고 스스로 삼가며 분수를 지켜 조준의 의견에 따랐으며 적을 가지지 않았다.

개국공신 1등에 책봉된 것은 공이 컸기 때문이 아니며, 처음에는 이성계를 추대하는 데 참여하지 않았다고도 한다. 시호는 익원(翼元)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태조실록(太祖實錄)』
『정종실록(定宗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
집필자
한영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