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노동요 ()

목차
관련 정보
남도 노동요
남도 노동요
국악
작품
국가유산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엄다리에 전승되는 노동요.
시도무형유산
지정 명칭
남도노동요(南道勞動謠)
분류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무형유산(1977년 10월 20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함평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엄다리에 전승되는 노동요.
내용

1977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1977년 10월에 지정되었다. 남도노동요는 평야지대인 영산강 유역 엄다리의 천학실(千鶴實)이 보유한 노래로서 농업노동요가 주를 이룬다. 천학실은 농사를 지으면서도 걸궁패를 따라다니며 소고재비를 한 적도 있고 명창 강남중(姜南中)에게서 판소리를 배운 바 있다.

① 모찌는 소리(“에헤라 머언들”), ② 상사류의 모심는 소리(“에 - 헤헤 헤루 상사뒤요”), ③ 물 품는 소리(수를 셈), 논맴소리, ④ “얼사 절사” ⑤ 아리시구나, ⑥ 느린 더덜게, ⑦ 자진 더덜게, ⑧ 장원질소리(“애롱 대롱 상사대롱”), ⑨ 등짐소리(“뒤요 뒤요, 오호호호” 또는 “뒤요 뒤요 어- 허허”), ⑩ 타작소리(개장치는 소리 “익카 익카 익카 익카”와 도리깨질 소리 “어우 어우 어우 어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⑪ 나락 홀태질 소리(“시렁 시렁 홀태질이야”), ⑫ 벼의 겉겨를 벗기는 매통질 소리(“에 헤라 매통”), ⑬ 방아찧는 소리(“어 유아 방아야”), ⑭ 콩꺾는 소리(“어화 좋다고 계명화라”), ⑮ 진상소리(“어화 기화 기화자 좋네” 또는 “기화 기화 기화 좋네), {{#204}} 말박는 소리(“얼 럴러얼 사앙사 도야”) 등이 있다. 이 중에서 ③을 제외하고는 모두 메기고 받는 방법으로 노래한다.

①의 먼들류는 영산강 중 · 하류지역을 본고장으로 그 주변의 전남지역에 전파되어 있는 모찌는 소리로서, 함평군은 그 중심권에 든다. 모심는 소리로 ②이외에 판소리에 나오는 농부가형의 상사소리를 부르기도 하나, 이는 본래 전북지방의 모심는 소리이다.

④를 천학실은 ‘무삼삼장’이라 일컫는바, 그 메김구 “세사는 금삼척이요, 생애는 주일배라”는 함평군 신광면 · 손불면 · 대동면, 무안군 현경면 등지의 ‘무삼베끼는 소리’와 공통이지만 받음구는 ④와 달리 “오- 얼룰룰룰”형이 보편적이다.

⑤는 함평군 · 무안군 · 나주시 · 영암군 방면의 영산강 유역이 본고장인 긴 논맴소리로 ‘문열가’라고도 한다. 천학실은 이를 ‘외주삼장’이라고 일컫는다. ⑥과 ⑦의 더덜게 소리는 함평군 신광면(더덜기요) · 학교면(덜게호), 무안군 현경면(덜내기호) · 청계면(덜내기호), 신안군의 더덜기야, 화순군 춘양면의 더덜기, 나주시의 더(허)더기 · 더헐래기요 · 더헐덜기야 등과 동류에 속한다.

함평군의 장원질소리 받음구는 “애롱 대롱”이 ⑧보다 보편적이다.

⑭는 무안군에서 들은 소리라고 했다. ⑮는 학교면 부근 충부들판의 쌀을 진상보낼 때의 작업소리라고 한다. {{#204}}은 전남 · 전북 공통의 터다짐소리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