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천절부시 ()

김만중의 서포집 중 단천절부시
김만중의 서포집 중 단천절부시
한문학
작품
조선 숙종 때 김만중(金萬重)이 지은 한시.
정의
조선 숙종 때 김만중(金萬重)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오언고시. 모두 212구 1,060자로 된 장편 서사시이다. 창작연대는 1679년(숙종 5)∼1680년경으로 추정되며, 그의 문집 『서포집(西浦集)』 권1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은 함경도 단천(端川) 관기(官妓)였던 일선(逸仙)의 절행이 예조에 보고되었으나, 천기(賤妓)라 하여 이를 묵살시켜버리자, 예조참의로 재직하던 김만중이 그의 절행을 왕에게 진달(進達)하고, 그의 절의를 길이 기리기 위하여 그 내용을 시로 표현한 것이다.

내용

「단천절부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소실의 태생인 관기 일선이 서울에 본가가 있는 상사(上舍)가 단천에 와서 살게 되자 그와 정에 빠진다. 상사가 서울로 돌아갈 때 일선이 수절을 맹세하는 혈서를 쓰니, 이에 감동한 상사는 머리털을 뽑아 동심결을 맺어주고 떠난다.

그 뒤에 함경도안찰사가 단천에 와 일선을 보고 마음이 동한다. 안찰사의 마음을 안 태수는 병사를 시켜 일선을 대령하게 한다. 일선은 몹쓸 병이 들어 안찰사를 모실 수 없다고 거절하여 태수의 노여움을 산다.

일선은 어머니의 성화에 못 이겨 안찰사를 모시겠다고 거짓말을 한 뒤에 자결하려고 우물에 빠졌으나 마을 사람들에 의하여 구출된다. 이 이야기를 들은 안찰사는 일선을 포기한다.

일선은 늘 상사를 그리워하였다. 그러던 중에 뜻밖에 상사의 부음을 받고 슬퍼하며 서울의 상사집을 찾아가서 예를 올린다. 일선은 상사의 어머니와 본처의 박대에도 불구하고 정성껏 일하여 시어머니와 본처의 환심을 샀다. 그리고 조석으로 상사의 무덤에 가서 시묘(侍墓)를 하니, 행인은 물론이고 짐승들까지도 그의 정성에 감동하였다.

의의와 평가

「단천절부시」는 고시에 특별한 조예를 가졌던 김만중이 당시 사대부들이 천시하던 관기 일선의 애정과 수절을 높이 평가하여 작품화한 것으로, 그의 문예의식과 인본주의사상이 내포된 뛰어난 작품이다. 그리고 중국의 고시 「맥상상(陌上桑)」·「공작동남비(孔雀東南飛)」·「목란사(木蘭辭)」 등과 접맥 된다.,

참고문헌

『서포집(西浦集)』
「서포(西浦)의 단천절부시(端川節婦詩)에 대(對)하여」(이원주, 『어문학』 44·45, 한국어문학회, 1984)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