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명

목차
관련 정보
무명필
무명필
의생활
개념
전통 수직기로 제직한 평조직의 면직물.
목차
정의
전통 수직기로 제직한 평조직의 면직물.
내용

면직물은 조선시대의 각종 문헌에 면포(綿布) · 목(木)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색 · 품질 · 용도에 따라서 백면포 · 구승백면포 · 목홍면포 · 오색목 · 백목 · 극세목 · 백세목 · 관목 · 생상목 · 홍세목 · 황세목 · 초록목 · 남목 · 자목 · 홍목 · 흑목 · 아청목 등 각양각색으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근년에 이르러서는 재래식 베틀로 제직된 면평 직물이 무명으로 명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무명은 광목(廣木) · 옥양목(玉洋木) · 서양목과 같은 면직물과 구별되어 명명된 우리나라의 토속 직물로서, 실용적인 춘하추동의 의복 재료 및 침구, 기타 생활용품 자료로 가장 많이 이용된 직물이다.

무명의 품질은 승 수(升數)로서 가름하는데(승 수를 샛 수라고도 한다.), 보통 일곱 새 정도가 튼튼하고 실용적이어서 실용적인 생활복에 많이 이용되었다. 열두 새, 보름 새는 섬세직에 들고 오늘날에는 열두 새가 극상이다. 조선시대의 『고사통(故事通)』에는 21승 면포가 기록되어 있다.

면화는 재래종과 육지면이 사용되었는데 무명은 주로 *고지피움헤바시움(Gossypiumherbaceum)*인 재래종 면화에서 실을 뽑아 짰다. 너비는 32∼36㎝(7寸) 내외였고, 한 필의 길이는 20m(40尺) 내외였다.

무명은 소색(素色)으로 짜서 표백해 사용하거나, 염색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반드시 소색으로 짜지는 않았다. 평안도 지역에서는 염색된 면사로 배색해 호직물(縞織物)로 짠 다양한 무명이 생산되었다.

『성호사설(星湖僿說)』에도 번우(番愚) 지역에는 본래 푸르고, 붉고, 흰 세 종류의 무명이 있었는데, 지금은 그 중 흰 것만이 전하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어 무명의 색이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무명은 조선 태종 때 일본으로 수출되었으며, 면 종자와 제직 기술도 전파시켰다. 그리하여 일본인들도 면직물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초부터는 오히려 일본 면포와 공장제 제직 기술이 역전파되어 우리나라의 무명 생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무명은 질박하고 무기교하며 소백하고, 또 물레로 실을 자으므로 불규칙한 굵기 때문에 표면에 변화가 있어, 그 질감과 색감, 미적 특성이 우리 민족의 감각에 합당해 오랫동안 자동직기로 제직된 값싼 면포를 압도해 많이 사용되었던 옷감이다.

무명으로 옷을 지으려면 먼저 물에 담가서 날실 날기 때 먹인 풀을 깨끗이 뽑고 잘 세탁해 삶아서 널어 말린다. 그 뒤 다시 쌀풀을 먹여 양지에서 말린 다음, 손으로 만지고 발로 밟아서 다리거나 다듬이질해 사용한다. 색무명으로 사용할 경우는 풀을 빼고 세탁해 양지에서 말린 다음 염색하고 풀 먹여서 다리거나 다듬이질을 한다.

무명으로 옷을 지을 때 겨울옷은 솜을 두어 겹으로 지었으며, 봄 · 가을 것은 그냥 겹으로 지었고, 여름옷은 홑으로 지었다.

무명은 자동직기로 제직된 면직물인 광목 · 옥양목 등이 범람한 때도 농가에서 부녀자들에 의해 제직되어 자급자족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무형문화재로, 또한 일부 지역에서만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

『아언각비(雅言覺非)』
『성호사설(星湖僿說)』
『고사통(故事通)』
「木綿革命」(角山洋行, 『服裝文化』 163, 1979)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48(석주선, 문화재관리국)
『한국직물 오천년』(심연옥,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200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민길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