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문무대왕릉 ( )

고대사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제30대 문무왕의 능.
이칭
이칭
대왕암, 대왕바위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건립 시기
남북국시대
관련 국가
통일신라
관련 인물
문무왕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1967년 07월 24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앞 해중(대왕암)
내용 요약

경주 문무대왕릉(慶州 文武大王陵)은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제30대 문무왕의 능이다. 문무왕의 유언에 따라 동해에 장례를 지냈다. 그의 유언은 불교 법식에 따라 화장한 뒤 동해에 묻으면, 용이 되어 동해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겠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화장한 유골을 동해의 입구에 있는 큰 바위 위에 장사 지냈다. 사방으로 마련된 수로와 아울러 안쪽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바위를 인위적으로 파낸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기록에 나타난 것처럼 문무왕의 수중릉일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제30대 문무왕의 능.
건립경위

문무왕이 재위 21년만인 681년에 승하하자, 유언에 따라 동해에 장례를 지냈다. 그의 유언은 불교 법식에 따라 화장한 뒤 동해에 묻으면, 용이 되어 동해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겠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화장한 유골을 동해의 입구에 있는 큰 바위 위에 장사 지냈으므로 이 바위를 ‘대왕암’, ‘대왕바위’라고 불렀다.

현황

문무대왕릉은 해변에서 가까운 바다 가운데 있는 그다지 크지 않은 자연 바위이다. 남쪽으로 보다 작은 바위가 이어져 있으며, 둘레에는 썰물일 때만 보이는 작은 바위들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 마치 주1처럼 보인다. 대왕암에 올라보면 마치 동서남북 사방으로 바닷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수로(水路)를 마련한 것처럼 되어 있다.

특히, 동쪽으로 나 있는 수로는 파도를 따라 들어오는 바닷물이 외부에 부딪쳐 수로를 따라 들어오고 나감으로써 큰 파도가 쳐도 안쪽의 공간에는 바다 수면이 항상 잔잔하게 유지되게 되어 있다. 이 안쪽의 공간은 비교적 넓은 수면이 차지하고 있고, 그 가운데는 남북으로 길게 놓인 넓적하고도 큰 돌이 놓여 있다. 수면은 이 돌을 약간 덮을 정도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문무왕의 유골을 이 돌 밑에 어떤 장치를 해서 보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수중 발굴 조사가 실시되지 않아 이 널돌처럼 생긴 돌 밑에 어떠한 시설이 마련되어 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사방으로 마련된 수로와 아울러 안쪽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바위를 인위적으로 파낸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기록에 나타난 것처럼 문무왕의 수중릉일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더구나 바위의 안쪽에 마련된 공간에 사방으로 수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부처의 사리(舍利)를 보관한 탑의 형식에 비유되고 있다. 즉,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사방에 문이 마련되어 있는 인도의 산치탑의 경우나 백제 무왕 때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진 익산 미륵사지 석탑 하부의 사방에 통로를 마련한 것과 같은 불탑의 형식이 적용되어 사방에 수로를 마련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왕릉이 내려다보이는 서북쪽 산 능선 아래에는 아들 신문왕이 창건한 감은사 터가 자리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문무대왕릉은 바닷속 바위에 왕릉을 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단행본

황수영, 진홍섭, 정영호, 『불국사삼층석탑 사리구와 문무대왕해중릉』(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조유전, 『발굴이야기-왕의 무덤에서 쓰레기장까지 한국 고고학 발굴의 여정』(대원사, 1996)

논문

서영교, 「문무왕대 왜전의 재설치와 대일외교」(『전통문화논총』 1, 2003)
신종원, 「문무왕과 대왕암-고려시대의 민속신앙과 관련하여-」(『한국중세사회의 제문제』, 2001)
이종학, 「文武大王과 新羅海上勢力의 發展」(『경주사학』 11, 1992)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주석
주1

능이나 묘의 둘레에 돌려 쌓은 돌.    우리말샘

집필자
장일규(국민대 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