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보살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불교에서 미래불로 믿고 받드는 보살.
이칭
이칭
자씨보살(慈氏菩薩)
내용 요약

미륵보살(彌勒菩薩)이란 불교에서 미래불로 믿고 받드는 보살을 말한다. 미륵(彌勒)은 친구를 뜻하는 마이트리야(Maitreya)를 음역한 것으로, 자씨(慈氏)로 의역된다. 미륵보살은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부처가 되기로 예정된 존재지만 현재는 도솔천에 머물면서 천인들을 위해 설법하고 있다. 부처가 되기 이전이기 때문에 보살이라고 부른다. 미륵보살이 도솔천에 머물다가 다시 태어날 때까지의 기간 동안, 먼 미래를 생각하며 명상에 잠겨 있는 자세를 한 불상이 미륵반가사유상이다.

목차
정의
불교에서 미래불로 믿고 받드는 보살.
내용

미륵(彌勒)은 친구를 뜻하는 미트라(mitra)에서 파생한 마이트리야(Maitreya)라는 단어를 한자로 음역한 것이다. 마이트리야는 자씨(慈氏)로 의역되므로 미륵보살은 흔히 자씨보살로도 불린다.

불교 사상이 발전하면서 석가모니 부처가 구제할 수 없었던 중생들을 미래불이 나타나 모두 구제한다는 사상이 싹트게 되었는데, 이 미래불이 바로 미륵보살이다.

미륵보살은 인도 바라나시국의 바라문 집안에서 태어나 석가모니불의 가르침을 받으며 수도하였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주11를 받았다. 현재에는 도솔천(兜率天)에 올라 천인(天人)들을 위해 설법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아직 부처가 되기 이전 단계에 있기 때문에 보살이라고 부른다. 도솔천은 미륵보살이 머무는 주12이며, 내원궁(內院宮)이라고도 한다. 현재 미륵보살이 상주하면서 설법하고 있는 도솔천은 지족(知足)이라 부르는 하늘이다. 이곳은 지나친 욕심이나 번뇌와 망상으로 인한 방탕함이 없는 세계이다. 신라시대 승려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향가 「 도솔가」에는 미륵불을 맞이하고자 하는 소원이 드러나 있어 당시를 풍미하던 미륵신앙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미륵불이 출현할 시기는 인간의 수명이 8만 세가 될 때, 또는 8만 4천 세가 될 때, 혹은 석가모니불이 주4하고 56억 7000만 년이 되는 때, 혹은 56억 만년이 되는 때, 5억 7천 60만년이 되는 때 등 경전마다 다르게 전승되고 있다.

도솔천에 머물며 다시 태어날 때까지의 기간 동안, 먼 미래를 생각하며 명상에 잠겨 있는 미륵보살을 표현한 불상이 미륵반가사유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삼국시대에 미륵반가사유상이 많이 만들어졌다.

미륵보살을 믿는 사람이 미륵보살이 태어날 때까지의 오랜 세월을 기다릴 수 없을 때는 현재 미륵보살이 있는 도솔천에 태어나기를[上生] 염원하였다. 복을 짓고, 지혜로운 행위로 덕을 쌓아 도솔천에 주15하여 미륵보살의 설법을 듣기를 기원하였다. 또는 미륵보살이 도솔천에서 내려와 주16 상에서 설법할 때 참여하기를 발원하였다. 보살이 빨리 지상에 강림하기를[下生] 염원하며 수행하는 이러한 미륵신앙은 우리 나라에서 널리 유행하였다.

신라의 원효(元曉)는 도솔천에 왕생하여 미륵보살의 제자가 되는 길은 관행인과(觀行因果)에 있다고 보았다. 여기서 관(觀)이란 도솔천의 뛰어난 장엄함을 관찰하는 것과 미륵보살이 수행의 결과로 누리는 주5의 뛰어남을 관찰하는 것 두 가지를 말한다. 그리고 행(行)이란 이 관에 수반되는 실천으로, 미륵보살을 공경하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이미 지은 죄를 참회하는 것과 미륵보살의 덕을 우러러 받들고 믿는 것, 그리고 탑을 닦고 마당을 쓸며 향과 꽃을 공양하는 등의 세 가지 실천을 말한다. 원효는 이러한 관찰과 실천의 결과로 지난 날의 죄가 소멸하고 주13주14에 떨어지지 않게 된다고 하였다. 또 도솔천에서 주7주8를 얻어 거짓 없는 도(道)에서 물러남이 없게 된다고 하였다. 한편 도솔천과 극락을 비교하여, 도솔천이 극락에 비해 주10의 여지가 있다고 하기도 하였는데, 동시대 법상종 승려인 경흥은 이에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미륵상생경(彌勒上生經)』
『미륵상생경종요(彌勒上生經宗要)』
『삼국유사』

단행본

논문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4

승려가 죽음. 우리말샘

주5

전생에 지은 선악에 따라 현재의 행과 불행이 있고, 현세에서의 선악의 결과에 따라 내세에서 행과 불행이 있는 일. 우리말샘

주7

몸과 마음이 의지할 나라, 집, 의식(衣食) 따위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과거의 업인(業因)에 따라 내생(來生)에 어떠한 몸으로 나타나느냐로 받는 과보. 부처나 중생의 몸이다. 우리말샘

주10

제멋대로 거리낌 없이 방탕하게 놂. 우리말샘

주11

부처로부터 내생에 부처가 되리라고 하는 예언을 받음. 우리말샘

주12

부처나 보살이 사는, 번뇌의 굴레를 벗어난 아주 깨끗한 세상. 우리말샘

주13

악인이 죽어서 가는 세 가지의 괴로운 세계.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이다. 우리말샘

주14

올바르지 못하고 요사스러운 생각이나 의견. 우리말샘

주15

극락왕생의 구품(九品) 가운데 상품, 중품, 하품의 각 윗자리. 상품 상생, 중품 상생, 하품 상생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16

미륵보살이 성불한 후에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연 법회. 석가모니가 입멸한 뒤 56억 7천만 년 만에 세상에 나타나서 용화수 밑에서 도를 이루고, 세 차례의 설법을 한다고 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