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자 ()

배자
배자
의생활
물품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
이칭
이칭
등거리, 배자(禙子)
내용 요약

배자는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이다. 일반적으로 배자는 소매 없는 상의를 의미하지만, 배자 중에는 소매가 달린 옷, 긴 옷에 이르기까지 그 유형이 다양하다. 앞섶을 겹쳐 여미지 않고 앞중심선에서 맞닿게 한 대금형(對襟型)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정의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
연원

한국 복식에서 배자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삼국시대로, 고구려 삼실총 벽화에서 배자로 추정되는 옷을 입은 남자상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통일신라 흥덕왕복식금령(興德王服飾禁令)에 기록된 주1주2도 배자에 속한다. 고려시대의 배자에 대해서 『고려사(高麗史)』에서 군복(軍服)으로 사용된 예를 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일상용 배자와 예복용 배자가 있었다. 예복용 배자는 조선 후기에 주9화된 적의(翟衣) 제도가 정착되기 전까지 왕비나 세자빈의 대례복에 포함되었다. 또한 여성들의 상례복(喪禮服)으로 사용되어 태종 8년 5월 시녀의 상복으로 등장한다. 이후에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는 상례에 사용된 배자에 대한 내용이 수차례 나타난다.

남성들의 반비, 주3, 답호(褡護), 쾌자(快子), 호의(號衣), 주7 등도 넓은 의미의 배자에 속하는 옷이었다. 하지만 소매가 짧거나 없는 저고리 길이의 웃옷인 일상용 배자는 조선 후기의 유물에 많이 나타난다.

형태와 제작방식

왕비와 왕세자빈의 주8에 입은 예복용 배자는 긴 소매에 옷길이도 긴 예복이었다. 또한 『사례편람(四禮便覽)』에서 배자에 대하여 “ 『국조오례의』주11몽두리(蒙頭里)라 한다.”라고 하여 소매가 없거나 짧되, 길이는 긴 주12 형태의 옷으로 설명하고 있다. 한편 서유구(徐有矩. 1764~1845)주13』에서 우리나라 배자 형태에 대한 설명은 조선조 말의 배자 유물의 형태와 일치한다. 일반적으로 남자의 배자는 앞이 뒤보다 약간 짧고 옆선이 완전히 트여 있어, 주14의 양 겨드랑이 밑에 달린 끈을 주15의 겨드랑이 밑 고리에 걸어서 입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출토된 조선 후기 배자의 형태는 이보다 다양하다. X자로 앞에서 여미는 등거리형이나 반소매형의 남자 배자 등도 있다. 여자용 배자는 출토 유물 중 옆선에 넓적한 끈을 봉제한 모양 같은 것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은 옆선이 봉제된 것이다. 조선 후기 여자의 저고리는 길이가 짧았기 때문에 굳이 옆선에 끈을 다는 것이 더 번거로웠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배자는 명주나 비단으로 겉을 하고, 안감으로 동물의 털이나 주16을 댄 것이 있다. 모피를 대지 않고 솜을 두거나 주17을 하여 등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를 준 것도 있지만, 사(紗)와 같이 얇은 천을 사용해, 방한이 아닌 멋을 위해 착용한 것도 있었다.

변천 및 현황

배자는 조선 후기 일상복으로 왕실은 물론 민간에 이르기까지 신분에 구애됨이 없이 널리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의 풍속화에서는 포(袍) 안에 물론 간혹 포 위에 배자를 입은 인물도 찾아볼 수 있다.

배자는 추운 기후의 북한 지역에서 더 즐겨 입었던 옷이다. 남한 지역에서는 여성들의 배자 차림은 점잖지 못하다고 여겼기 때문에 노인이나 어린이가 주로 착용하였다. 한편 개항 이후 남자 한복에 서양식 조끼가 수용되면서 남성용 배자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가 20세기 말부터 남자 한복의 조끼 대신 배자를 입는 유행이 다시 나타났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사례편람(四禮便覽)』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논문

박두이, 「배자의 양식 변천에 관한 고찰」(『복식』 9, 한국복식학회, 1992)
이수연, 『18세기 이후 배자의 유행과 확산』(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주석
주1

소매가 없는 윗옷. 우리말샘

주2

깃과 소매가 없거나 소매가 아주 짧은 겉옷.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조선 시대에는 배자(褙子), 더그레, 답호, 쾌자(快子) 따위로 발전하였다. 우리말샘

주3

깃과 소매가 없거나 소매가 아주 짧은 겉옷.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조선 시대에는 배자(褙子), 더그레, 답호, 쾌자(快子) 따위로 발전하였다. 우리말샘

주7

조선 시대에, 각 영문(營門)의 군사, 마상재(馬上才)꾼, 의금부의 나장(羅將), 사간원의 갈도(喝道) 등이 입던 세 자락의 웃옷. 소속에 따라 옷 빛깔이 달랐다. 우리말샘

주8

오례(五禮)의 하나. 왕가(王家)에서는 왕의 성혼이나 즉위, 또는 왕세자ㆍ왕세손ㆍ황태자ㆍ황태손의 성혼이나 책봉 따위의 예식을 이르고, 사가(私家)에서는 관례(冠禮)나 혼례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9

그 나라 특유의 풍속. 우리말샘

주11

말하는 이가 공식적인 자리에서 자기 나라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2

앞을 여미지 아니하고 마주 대는 옷깃. 우리말샘

주13

조선 헌종 때 서유구가 펴낸 농업 백과전서. 16 부문으로 나누어 농업 정책과 자급자족 경제론을 편 실학적 농촌 경제 정책서로, 농기(農器)의 도보(圖譜) 및 전국의 장날까지 우리나라의 약 100년간의 시장에 관한 자료가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113권 52책. 우리말샘

주14

저고리나 두루마기 따위의 앞쪽에 대는 가는 길. 우리말샘

주15

저고리나 두루마기 따위의 뒤쪽에 대는 길. 우리말샘

주16

면사를 사용하여 평직 또는 능직으로 짠 후 보풀이 일게 한 직물. 촉감이 부드럽다. 우리말샘

주17

두 겹의 천 사이에 솜을 넣고 줄이 죽죽 지게 박는 바느질. 또는 그렇게 만든 물건. ⇒규범 표기는 ‘누비’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홍나영(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