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진 정책 (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개념
북방으로 나라의 세력을 확장하기 위하여 고려와 조선시대에 추진되었던 대외정책.
내용 요약

북진 정책은 북방으로 나라의 세력을 확장하기 위하여 고려와 조선시대에 추진되었던 대외정책이다. 고려는 고구려의 옛 땅을 회복하기 위해 국초부터 북방진출을 모색하였다. 거란의 남침을 계기로 서북면에 강동육주를 설치하여 압록강을 국경선으로 확정하였다. 동북면의 국경도 윤관의 여진 토벌과 동북 9성 축조에 힘입어 영흥지방에서 함흥평야까지 확장되었다. 조선은 종성·온성·회령·경원·경흥·부령의 육진(六鎭)을 설치하여 두만강을 국경으로 삼았다. 그리고 압록강 상류의 여진을 정벌하여 여연·자성·무창·우예 사군(四郡)을 설치하였다.

목차
정의
북방으로 나라의 세력을 확장하기 위하여 고려와 조선시대에 추진되었던 대외정책.
연원

고려라는 국호가 고구려의 옛 땅을 회복한다는 의지의 표시로 나타난 것을 보듯이, 국초부터 꾸준히 북방의 영토에 대해 관심을 보여 왔다. 이러한 사실은 고려의 국왕들이 스스로를 고구려의 계승자라고 자부한 역사적 의식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믿어진다.

태조와 정종은 서경(西京 : 평양)에 천도할 구체적 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 이것은 고려가 국초부터 북방진출을 강력히 추진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잘 말해준다. 서경천도계획은 그 뒤에도 어떤 정치적 계기가 있을 때마다 대두되기도 하였다.

내용

태조가 건국할 당시의 서북면 경계는 대동강 유역에 그쳤으나 만년에는 청천강에 이르렀다. 동북면으로는 종래의 삭정군(朔庭郡 : 지금의 함경남도 안변) · 정천군(井泉郡 : 지금의 함경남도 德源)으로부터 말년에는 지금의 영흥(永興)까지 진출하였다.

(1) 서북면

고려의 북진정책은 거란의 남침을 저지하려는 군사적 의도와 결부되어 주로 서북면에서 강력히 추진되었다. 정종 · 광종 · 경종의 3대에 걸쳐 서북면 지역에서의 축성이 매우 활발히 전개되었다. 993년(성종 12) 거란과 최초의 군사적 접촉을 하였을 무렵에는 이미 청천강 이북의 많은 요지에 성곽의 축조를 완료하고 있었다.

993년 소손녕(蕭遜寧)의 내침을 계기로 북방진출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이때 서희는 거란에 대한 통교의 길을 연다는 명목으로 거란으로 하여금 강동(江東)지역에 대한 고려의 영유를 승인하게 하였다. 이리하여 구축된 것이 강동육주의 성보(城堡)인데, 이를 계기로 국경은 압록강 연안까지 뻗어나가게 되었다.

그 뒤 거란은 앞서 고려가 축성의 명분으로 약속한 통교를 실행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2차 침입(1010) 때에 약속한 현종의 친조도 이행하지 않으므로, 여러 차례 육주의 반환을 요구했으나 고려는 물론 이에 응하지 않았다.

1019년(현종 10) 양국이 강화를 맺고 화평이 수복되자, 거란은 고려의 육주 영유를 기정사실로 인정하는 모양이 되었고 큰 분규는 없었다. 그러나 이에 앞서 거란은 여진과 송나라의 교통을 끊기 위해 압록강 하류의 강 중에 이미 내원성(來遠城)을 구축하고 있었으며, 또 그 뒤 육주의 반환을 요구하면서 압록강을 넘어 고려의 영토인 강동땅에 보주성(保州城, 抱州城 : 지금의 평안북도 의주)을 쌓고 있었으므로, 이 지역에서는 양국의 세력이 매우 미묘하게 대립해 얽히어 있었다.

11세기 말엽부터 북만주에서 완안부(完顔部)의 추장 우야소(烏雅束)가 여진족 전체의 통일을 꾀하였고, 그의 아우 아구타(阿骨打)에 이르러 부족통일이 완성되어 1115년(예종 10) 금(金)나라가 건국되었다. 이것이 고려의 북방진출을 일단 마무리짓게 하는 또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이에 앞서 고려는 금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금나라의 전승을 축하하는 동시에 보주가 본래 고려의 영토임을 인식시키고 환수를 요구해 양해를 얻은 바 있었다. 또한 내원성을 지키는 요나라의 장군이 성의 함락 직전에 내원 · 보주 두 성의 접수를 요청해 왔으므로 고려는 곧 두 성을 점령하였다.

단, 내원성의 점령은 오래 가지 못했는지 이후 이 성에서 활동을 계속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데, 보주성은 이름을 고쳐 의주방어사(義州防禦使)로 삼았다. 압록강이 서북면에서 고려의 국경선으로 확정된 것은 이때 이래의 일이다. 그 뒤 오늘에 이르기까지 이 국경선에는 동녕부(東寧府)의 설치 등으로 약간의 곡절이 있기는 했으나 별로 큰 변동이 없었다.

(2) 동북면

동북면에서의 국경은 태조 만년에 대체로 영흥지방에까지 미치고 있었는데 그 뒤 큰 변동 없이 내려오다가 1107년(예종 2) 윤관(尹瓘)의 여진 토벌을 계기로 일시 지금의 함흥평야에까지 확대된 일이 있었다. 당시의 함흥평야는 넓은 의미에서 갈라전(葛懶甸)이라고 불렸는데, 완안부의 세력이 이 지방에 미치면서 고려와 여진은 이 지방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대립하였다.

이 지역은 본래 치외(治外)의 땅이기는 하지만, 고려의 세력 영향권에 속하는 곳이었다. 이 곳에서 완안부의 세력이 점차 확대되자, 마침내 윤관으로 하여금 토벌을 강행하게 하고 여기에 구성을 축조하게 하였다(1107∼1108). 그런데 1109년 6월에 군사적으로 구성의 유지가 어렵게 되어 이를 완안부에게 돌려주었다.

그 뒤 동북계의 영역은 점진적으로 북쪽으로 확대되었다.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를 공략해서 그 관하의 지역을 회수한 1356년(공민왕 5)부터 우왕 초년에 이르는 사이에 단천(端川) 이북, 길주(吉州) 이남, 갑산(甲山)지방을 연결하는 지역이 고려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변천

세종은 김종서(金宗瑞)로 하여금 북진에 힘쓰게 한 결과 종성(鐘城) · 온성(穩城) · 회령(會寧) · 경원(慶源) · 경흥(慶興) · 부령(富寧)의 육진을 설치, 국경이 처음으로 두만강 하류에까지 뻗어나갔다(1434∼1443).

이와 병행해서 최윤덕(崔潤德) · 이천(李蕆) 등에게 압록강 상류의 여진을 정벌케 하고, 여연(閭延) · 자성(慈城) · 무창(茂昌) · 우예(虞芮) 등 사군을 설치, 국경은 압록강 상류에까지 확대되었다.

이러한 결과 조선의 영역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하여 여진과 서로 인접하게 되었다. 그러나 동아시아 국제정치질서의 확립과 국내 정치의 안정으로 더 이상의 북진정책은 시행되지 못하였다. 한편, 효종 때 북벌론이 대두된 적이 있으나 이 북벌론은 엄밀한 의미에서 북진정책과는 차이가 있으며 제대로 실행에 옮겨지지도 않았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한국사(韓國史)』-중세편(中世篇)-(이병도, 을유문화사, 1961)
『한국만주관계사(韓國滿洲關係史)의 연구(硏究)』(이인영, 을유문화사, 1954)
「고려전기(高麗前期)의 대거란관계(對契丹關係)」(강대량, 『사해(史海)』1, 1948)
「세종조(世宗朝)의 양계행성축조(兩界行城築造)에 대하여」(송병기, 『사학연구(史學硏究)』18, 1964)
집필자
강진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