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조(韓條)에는 삼한의 여러 소국들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다. 이 이름들은 당시의 중국음에 따라 한자로 표기한 것인데, 우리 나라의 현행 한자음과 비슷하므로 이들 나라의 위치 비정에 많은 참고가 된다.
그런데 마한 소국 중에 ‘신분활국(臣濆活國)’이 있는 것으로 보아, 불사분야국의 ‘분야(濆邪)’도 ‘분활’을 잘못 기록한 것이 아닌가하고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
‘분활(濆活)’을 반절(反切)로 읽으면 ‘발(發)’로 표기되는데, 이는 ‘평야’ · ‘읍락’ 등의 뜻으로 흔히 나라 이름 끝에 붙이던 백제의 ‘부리(夫里)’, 신라의 ‘벌(伐)’ · ‘불(弗)’ · ‘불[火]’ 등과 같은 말이 된다.
이렇게 보면 불사분활국은 백제의 비사벌(比斯伐)이었던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에 비정할 수 있게 된다. ‘불사(不斯)’는 ‘비사(比斯)’에, ‘분활’은 ‘벌(伐)’에 각각 상응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백제의 부사현(夫沙縣)이었던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으로 비정하는 견해도 있다.
불사분야국은 청동기 내지는 초기철기문화를 배경으로 성립하여 토착적인 지배세력과 지배기구를 토대로 개별적인 성장을 지속하다가, 4세기 중엽을 전후하여 백제에 복속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개로왕 때 대북위사신(對北魏使臣)인 사서관군장군 부마도위 불사후 장사(私署冠軍將軍駙馬都尉弗斯侯長史) 여례(餘禮)가 기록에 있는 것을 볼 때, 불사분야국이 백제의 첨로(檐魯, 擔魯) 통치지역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불사(弗斯)’는 옛 불사분야국 지역에 해당되며, ‘불사’라는 지명에 ‘후(侯)’라는 관작이 붙은 데서 첨로제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 마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