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려 ()

목차
관련 정보
승려
승려
불교
제도
불교의 가르침을 배우기 위해 출가해 수행과 포교 등을 실천하는 종교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의 가르침을 배우기 위해 출가해 수행과 포교 등을 실천하는 종교인.
내용

스님 또는 중이라고도 한다. 중이라고 한 것은 인도에서 승을 승가(僧伽, Samgha)라고 한 것을 한문으로 번역하여 중(衆)이라고 했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그 음을 따서 사용하게 된 것이다.

인도의 범어인 승가(僧伽, saṃgha)를 약칭하여 승이라고 하는데, 화합 또는 대중을 의미한다. 중국에서 범어와 한자가 합쳐져서 승려로 불렸다. 의역하여 중(衆)이라고도 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그 음을 따서 사용하게 되었다.

석가모니의 제자로서 최초의 승려가 된 이는 녹야원(鹿野苑)에서 최초의 설법을 들은 다섯 비구였고, 그 뒤 수많은 사람들이 출가하였다. 우리 나라에도 불교가 전파된 뒤에 곧바로 승려가 생겨났으리라고 추정되나 그 최초의 승려가 누구였는지는 전하지 않는다.

승려는 5중(五衆)이라 하여 다섯 종류로 나누어진다. 구족계(具足戒)인 250계를 받은 남자 수행승 비구(比丘)와, 348계를 받은 여자 수행승 비구니(比丘尼), 사미(沙彌) 10계를 받은 남자 사미(沙彌)와 여자 사미니(沙彌尼), 사미니에서 비구니 사이의 단계에서 특별히 부지런히 공부하는 여승인 식차마나(式叉摩那) 등의 다섯 종류가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재가인이 처음 출가를 하게 되면 능히 승려생활을 할 수 있겠는가를 점검하고 그 의지를 시험하는 행자(行者)가 되어야 한다.

이 행자들은 밥짓고, 청소하는 등의 절 생활 가운데 가장 밑바닥에 해당하는 일들을 익히게 되며, 이때 상당히 고된 수련을 쌓게 된다.

1년 정도의 행자생활이 끝나면 사미계를 받고 스승을 정하게 되며, 이 사미가 20세가 되면 구족계를 받고 비구가 된다. 여승의 경우에는 사미니에서 식차마나의 과정을 거쳐서 구족계를 받아 비구니가 된다.

그러나 누구나 승려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결함이 있는 신체 장애자, 나쁜 버릇이 있는 사람, 도박사, 빚이 있는 사람, 부모의 허락이 없는 미성년자 등은 승려가 될 수 없게 되어 있다.

승려들은 세속의 직업을 멀리 해야 하며, 경제행위는 금지되어 있다. 그리고 현대 이전까지만 해도 소지품을 간소화하여 탁발을 위한 바리와 세 벌의 옷, 손칼, 이쑤시개만을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생활을 흔히 삼의일발(三衣一鉢)의 생활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들의 일과는 경전의 독송(讀誦)·탁발·명상·염불·참선 등이고, 수행이 높은 이들은 후배나 신도들에게 설법하는 일도 하게 된다.

승려들은 12두타행(頭陀行)이라고 하여 불도를 닦는 데 필요한 12가지 행법을 중요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재아란야처(在阿蘭若處)로서 일가를 멀리 떠나 산속이나 광야의 한적한 곳에 있어야 하고, ② 상행걸식(常行乞食)으로서 늘 밥을 빌어서 생활해야 하며, ③ 차제걸식(次第乞食)으로 빈부를 가리지 않고 차례로 걸식하여야 한다.

현재는 불교종단에서 승려들의 걸식을 제도적으로 막고 있어서 그 모습을 볼 수 없지만, 1960년대까지만 해도 이 걸식은 승려 수행의 필수사항처럼 되어 있었다.

걸식은 단순히 음식을 얻기 위한 행위가 아니라 세속의 냉대와 인정 속에서 스스로의 마음을 닦는 수행의 필수요건처럼 되어 있었다.

그리고 걸식을 하게 되면 일곱 집을 차례로 방문하되, 한편의 ≪반야심경 般若心經≫을 다 외우고 나서 다음 집으로 옮겨가게 되며, 일곱 집에서 음식을 얻지 못할 경우에는 그날의 밥은 먹지 않게 되어 있었으며, 음식을 받지 못하더라도 ≪반야심경≫을 끝까지 외우면서 그 집의 복덕(福德)을 기원하게 되어 있었다.

④ 수일식법(受一食法)으로서 한자리에서 먹고 거듭 먹지 아니하며, ⑤ 절량식(節量食)으로서 바리 안에 든 음식만으로 만족하는 것이다. ⑥ 중후부득음장(中後不得飮漿)으로서 정오가 지나면 과일즙이나 사탕 등의 음식도 먹지 아니하며, ⑦ 착폐납의(着弊衲衣)라고 하여 헌옷을 빨아서 기운 누더기옷을 입으며, ⑧ 단삼의(但三衣)로서 중의(重衣)·상의(上衣)·내의(內衣) 외의 옷은 갖지 않는다.

⑨ 총간주(塚間住)로서 무덤 곁에 있으면서 무상관(無常觀)을 익히는 데 편리하도록 하며, ⑩ 수하지(樹下止)로서 있는 곳에 애착을 여의기 위해서 나무 밑에 있는다는 것이다. ⑪ 노지좌(露地坐)로서 나무 아래에서 자면 습기나 새똥·독충 등의 해가 있으므로 한데에서 앉는 것을 가리키며, ⑫ 단좌불와(但坐不臥)로서 앉기만 하고 눕지 않는 것이다.

이 열두 가지 중에서 모두를 지키는 경우도 있지만 스스로의 수행에 비추어서 한두 가지를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우리 나라에는 이판승(理判僧)과 사판승(事判僧)으로 승려를 구분하는 경우가 조선 중기 이후부터 생겨났다.

오로지 수행을 중심으로 하는 이판승으로 이루어졌던 불교교단이 조선시대의 억불정책 아래 국가에서 부여하는 잡역이나 양반의 횡포 속에서 사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에만 몰두하는 사판승이 생겨나지 않을 수 없었다.

이판승은 주로 경을 공부하거나 참선을 하는 승려를 지칭하게 되었고, 사판승은 억불의 여건 속에서 사찰 유지에 필요한 갖가지 일을 담당하는 주지 등의 행정승(行政僧)을 지칭하게 되었다.

현재는 대처승을 사판승이라고 하여 정도를 걷는 승려가 아니라고 보는 경향도 있지만, 그때에는 이 사판승에 의해서 사찰이 유지되었고, 이판승의 수행까지 뒷받침하는 소임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볼 때 승려가 되는 것은 모든 신분을 초월한다는 측면을 가지고 있었다. 석가모니는 당시 인도의 사성계급을 거부하고, 어떤 신분에 있는 사람이라도 승려가 되면 다를 바가 없어지고, 오히려 천민이라도 먼저 출가하면 뒤에 들어온 왕족으로부터 선배 대접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당시의 인도사회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그 전통은 중국이나 우리 나라에서도 똑같이 적용되었다. 따라서 불교를 국교로 받들면서 진흥을 도모했던 신라나 고려시대에는 승려가 되는 것이 큰 자랑이고 집안의 기쁨이기까지 했으며, 천민들은 신분을 극복하기 위해 승려가 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억불정책과 함께 승려의 신분은 천민으로 전락하였고, 출가하는 것조차 억압당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승려가 되기 위해서는 국가에서 정한 부역에 참여하여 몇 달을 무보수로 노역함으로써 승려 자격증에 해당하는 도첩(度牒)을 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승려들의 도성(都城) 출입은 완전히 통제되었고, 연산군 때는 승려를 환속시켜 남자는 연산군이 사냥할 때 몰이꾼으로 부렸고, 여자는 궁방의 노비로 삼기까지 했으며, 유생들이 승려를 돌로 쳐서 죽여도 유생을 처벌하는 일이 없었다.

1998년판 한국불교총람에 의하면, 우리 나라의 승려 수는 총 2만 8,489명으로, 남자가 2만 4,903명, 여자 3,586명이다. 이를 종파별로 보면, 대한불교조계종 1만 2,000명, 한국불교태고종 5,289명, 대한불교천태종 500명, 대한불교진각종 254명, 대한불교관음종 414명, 대한불교법화종 1,630명, 대한불교일붕선교종 1,200명, 대한불교보문종 212명, 기타 3,404명으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사연구』(안계현, 동화출판공사, 1982)
『한국불교사개설』(김영태, 경서원, 1986)
『불타의 세계』(중촌원(中村元) 저, 김지견 역, 김영사,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