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용장성 ( )

목차
관련 정보
진도 용장성
진도 용장성
건축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에 있는 고려시대 삼별초가 새로운 거점으로 몽골에 대항하기 위해 축조한 성곽. 산성. 사적.
목차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에 있는 고려시대 삼별초가 새로운 거점으로 몽골에 대항하기 위해 축조한 성곽. 산성. 사적.
개설

삼별초(三別抄)진도에 설치한 대표적인 항몽(抗蒙) 시설이다. 1270년(원종 11) 6월 삼별초는 강화도에서 승화후(承化侯) 온(溫, ?∼1271)을 왕으로 추대하여 독자적인 정부를 세웠고, 그 뒤 이곳을 새로운 거점으로 삼아 몽골에 대항하였다. 산성은 진도 북쪽 해안의 산 능선에 있다. 북쪽 해안에는 진도의 관문인 주1이 있는데, 주2으로 이어지는 조운로의 길목이기도 하다.

내용

성벽은 약 13㎞에 이르는데, 평탄지와 경사지에서 각각 다르게 축조되었다. 평탄지에는 내벽과 외벽을 쌓는 주3 방식으로 쌓였으며, 경사지에는 바깥쪽만 돌로 쌓는 편축(片築) 방식을 사용하였다. 성벽의 바닥면에는 작은 돌을 두어 지면을 다졌고, 그 위에 두께 10cm 정도의 일정하지 않은 널돌을 바깥쪽으로 12∼15cm 정도 내밀어 쌓은 다음 다시 위쪽으로 성벽을 축조하였다.

용장성에서 가장 높은 곳은 남쪽에 위치한 해발 215m의 서낭산 정상부인데, 여기에는 이전에 산 정상부를 둘러 쌓은 작은 규모의 주4 성벽 흔적이 남아 있다. 이곳에서는 성 전체는 물론 주변 지역이 일목요연하게 관측되므로, 주5와 같은 군사 시설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성 안에는 축대를 쌓아 층층이 나눈 층단식(層段式) 평지가 있고, 건물터 등도 곳곳에 남아 있다. 원래 용장성에는 고려시대에 절이 있었는데, 삼별초가 허물고서 행궁을 지었으므로 ‘궁궐터’라고 불렸다. 궁궐터는 북향의 경사면에 자리하였기에, 건물은 모두 북향을 하였을 것이다.

1980년대에 지표조사가 이루어진 뒤 2004년부터는 여러 차례 발굴조사가 시행되었다. 건물터 발굴조사에 의해서 건물 구조가 확인되었고 많은 양의 기와 조각과 청자 조각, 불구(佛具), 석탑 부재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2009년∼2010년에 진행된 궁궐터 전면 조사를 통해서는 삼별초의 진도 이동이 고려 왕실의 강화 천도에 이은 또 하나의 천도였음이 확인되었다. 곧 20여 채 이상의 건물은 성 안에 치밀하게 배치되었는데, 이것은 마치 개경 만월대를 연상시키는 구조여서, 매우 섬세한 계획에 의해서 궁궐이 조성되었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이로써 삼별초가 진도가 들어간 뒤에야 용장성이 설계되고 시공된 것이 아니라, 진도로 옮기기 전에 이미 기본적인 설계와 궁궐 조성 작업의 일부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산성의 축성 시기에 대해서는 1243년(고종 30)이나 1260년(원종 1)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 1268년(원종 9)부터 궁궐이 시공되었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참고문헌

『진도 용장산성』(목포대학교박물관, 2006)
『진도 용장성』(최성락, 목포대학교박물관, 1990)
「진도 용장산성의 구조와 축조 시기」(고용규,『13세기 동아시아 세계와 진도 삼별초』, 목포대학교박물관, 2011)
「고려 삼별초의 항전과 진도」(윤용혁,『13세기 동아시아 세계와 진도 삼별초』, 목포대학교박물관, 2011)
주석
주1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에 있는 항구. 규모가 작은 어항(漁港)으로 진도 대교가 건설되기 이전에는 해남, 진도, 제주를 잇는 중간 교두보 역할을 하였다. 1993년 지방 어항으로 지정되었으나, 2005년 해제 고시되었다. 우리말샘

주2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반도와 진도 사이에 있는 좁은 해협. 우리말샘

주3

성을 쌓을 때, 중간에 흙이나 돌을 넣고 안팎에서 돌을 쌓는 일. 우리말샘

주4

마치 띠를 두르듯 산 정상부를 빙 둘러 가며 쌓아 올린 산성. 우리말샘

주5

적이나 주위의 동정을 살피기 위하여 높이 세운 곳. 우리말샘

집필자
윤용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