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만겸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조선임전보국단 평의원 등을 역임한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9년(고종 26) 7월 13일
사망 연도
1944년 12월 13일
본관
기계(杞溪)
출생지
서울
관련 사건
한일강제병합
정의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조선임전보국단 평의원 등을 역임한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개설

1889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생애 및 활동사항

조선임전보국단 이사를 지낸 유억겸(兪億兼)의 형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와 도지사를 지낸 유성준(兪星濬)의 조카이다. 배재학당 흥화학교 영어과 상동청년학원을 졸업했다. 1913년 일본에 유학해 오카야마 제6고등학교[岡山第六高等學校]와 1917년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유학 중 일본의 대륙침략 논리였던 아시아주의를 찬동하고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문명화라고 주장했다. 도쿄제국대학 대학원에 진학해 경제학을 공부하다 1918년 귀국했고, 그 해 4월부터 조선총독부 속(屬)으로 농상공부 농무과에서 근무했다.

1920년 경상북도 문경군수, 1921년 경상북도 내무부 서무과장, 1922년 경상북도 내무부 사회과장을 역임했으며, 1924년 조선총독부 사무관으로 학무국 종교과장, 1928년 평안북도 참여관, 1930년 경상북도 참여관 겸 산업부장이 되었으며, 같은 해 경상북도농회 회장에도 임명되었다. 1932년 2월부터 조선총독부 학무국 사회과장으로 근무하면서 조선총독부 고적조사위원회 위원 겸 간사, 조선총독부 제생원 서무과 촉탁, 재단법인 역둔토협회 이사, 조선간이생명보험심사회 위원, 조선총독부 농촌진흥위원회 위원 겸 간사를 겸임했다. 1934년 평안남도 참여관으로 옮겨 평안남도 농촌진흥위원회 위원을 겸했고, 1936년 충청남도 참여관과 1938년 충청남도 산업부장을 거쳐 1939년 충청북도지사로 승진해 1940년 9월까지 재임했다. 재임 중 조선총독부 시가지계획위원회 임시위원,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참여(參與), 조선유도연합회 참여 겸 충청북도유도연합회 회장 등을 지냈다.

1940년 9월 조선총독 자문기구인 중추원 칙임관 대우 참의에 임명되어 1944년 12월 사망할 때까지 한 차례 연임했으며, 1941년 흥아보국단 경기도위원과 조선임전보국단 경성지역 발기인으로 참여해 평의원을 맡았다. 1941년에는 조선유도연합회 부회장과 국민총력조선연맹 평의원으로 활동했으며, 1943년 경학원 부제학과 중추원 참의로 활동하던 중, 1944년 12월 13일 사망했다. 상훈으로는 1928년 11월 쇼와[昭和]천황 즉위기념 대례기념장, 1931년 3월 훈6등 서보장, 1935년 3월 훈5등 서보장, 1938년 11월 훈4등 서보장, 1940년 10월 훈3등 서보장 등이 있다.

유만겸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9·17·19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10: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pp.514∼547)에 관련 행적이 상세하게 채록되었다.

참고문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10: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현대문화사, 2009)
『친일인명사전』2(민족문제연구소, 2009)
『대중인사록(조선)』(제국비밀탐정사, 1943)
『중추원회의참의 답신서』제21·22·23회(조선총독부 중추원, 1940·1941·1942)
『지나사변(支那事變) 공적조서』(조선총독부, 1940)
『조선연감』(경성일보사, 1939·1941·1942·1943·1944)
『조선공로자명감』(阿部薰, 민중시론사, 1935)
『조선인사흥신록』(貴田忠衛, 조선신문사, 1935)
『조선신사록』(有馬純吉, 조선신사간행회, 1931)
『조선총독부관보』
『조선총독부·소속관서 직원록』
집필자
김희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