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연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때, 권세연 의진에서 선봉장으로 활동하였으며, 국권 피탈 이후 만주로 망명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한 의병장 · 독립운동가.
이칭
박여(璞汝)
성남(星南)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3년(고종 10)
사망 연도
1914년
본관
전주(全州)
출생지
경상북도 안동
정의
대한제국기 때, 권세연 의진에서 선봉장으로 활동하였으며, 국권 피탈 이후 만주로 망명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한 의병장 ·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일명 시연(時然). 자는 박여(璞汝), 호는 성남(星南). 경상북도 안동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1882년 향리의 대평학숙(大坪學塾)에서 유연각(柳淵覺)으로부터 한문을 수학하였다.

1896년 안동의병장 권세연(權世淵)의 막하에서 선봉장으로 활약하면서 적에게 큰 타격을 주어, 유선봉(柳先鋒)이라는 별호를 얻었다. 안동의진이 해산한 뒤, 영남지방으로 남하한 김하락(金河洛)의진에 가담하였다.

1906년 봄 경주 분황사에서 열읍(列邑)의 의병대표들과 회맹하고 총대장에 추대되어 진보·영덕·평해 등지에서 전투를 벌여 전과를 올렸다. 1907년 한국군 강제해산 후 이강년(李康秊)이 격서를 보내와 함께 활약할 것을 요청하자, 군사 수십명을 거느리고 삼척방면으로 가서 이강년을 만났다.

이 때 친일파 박두일(朴斗日)의 계략에 빠져 군졸들이 흩어지자, 격분하여 울진십이령(蔚珍十二嶺)에서 박두일을 사살하였다. 이어 영양·청송·안동 등지에서 유격전을 벌여 전과를 올렸다. 1908년 부하 57명을 거느리고 의성 갈곡동에서 왜병을 습격하여 성과를 올리고 영양 북면에 잠복하였다.

1911년 8월 만주로 망명하여 이상희(李象羲)·김동삼(金東三)·안창호(安昌浩) 등과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남북만주일대가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기에 최적지임을 깨닫고 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1913년 국내에 잠입하여 활동하였다.

그러나 밀정의 밀고로 5월 영주 반구왜경소(盤邱倭警所)에 붙잡혔다. 대구복심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아 1914년 1월 교수형으로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김하락진중일기」(김하락, 『독립운동사자료집』1,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유의사전」(유규원, 『독립운동사자료집』3,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매일신보(每日申報)』
『暴徒ニ關スル編冊』
집필자
박성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