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석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경상남도 함안의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2년(고종 29)
사망 연도
1950년
출생지
경상남도 함안군
정의
일제강점기 때, 경상남도 함안의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한 독립운동가.
생애 및 활동사항

경상남도 함안 출신. 1919년 3월 19일의 함안읍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함안 만세운동은 고종의 인산(因山)에 참배차 상경하였다가 그곳에서 전개된 독립선언식과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고 귀향한 조한휘(趙漢輝)·한종순(韓鍾淳)·이찬영(李讚榮) 등에 의하여 계획되었다.

조한휘로부터 서울의 만세운동상황을 전해듣고 이 계획에 적극 찬성하였다. 대산면의 한문교사인 안지호(安智鎬)와 연락을 취하면서 함안읍 장날을 이용하여 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였다.

3월 18일 밤 조한휘가 서울에서 가져온 독립선언서의 문장이 너무 길어 한 장에 등사하기가 어렵자 그 내용을 한 장 분량으로 축소 개작한 후 등사하였다. 3월 19일 정오, 이찬영과 함께 인근의 비봉산(飛鳳山)에 올라가 고천제(告天祭)를 올렸다.

그리고 일제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읍내에 분산해 있던 시위 군중에게 봉성동으로 모이라는 신호를 하고는 곧 하산하였다. 수백 명의 시위 군중에게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나누어주고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 독립만세를 선창하였다.

오후 2시경 3,000여 명으로 늘어난 시위 군중과 함께 주재소로 시위행진하였다. 이때 출동한 마산경찰서장과 현지 경찰들이 무력을 행사하려 하자, 격노한 군중과 함께 도끼·몽둥이·돌을 들고 주재소로 들어가 공문서를 파기하고 건물을 파괴하였다.

경찰들에게 독립선언서를 주면서 독립만세를 함께 외칠 것을 요구했지만 이에 응하지 않아 구타하였다. 이어 시위 군중과 함께 폐쇄된 군청문을 부수고 청사 안으로 들어가 군수 민인호(閔麟鎬)를 붙잡아 제복과 모자를 벗기고 독립만세를 외칠 것을 요구하는 등 격렬한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마산 중포병대대 병력 16명과 현지 경찰들의 검거 때 일시 피신하였다가 결국 잡혔다. 1919년 12월 부산지방법원 마산지청에서 징역 6월형을 선고받았다.

상훈과 추모

1983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집필자
김진봉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