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간 ()

임수간 글씨
임수간 글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이조좌랑, 교리, 수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용여(用汝)
돈와(遯窩)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65년(현종 6)
사망 연도
1721년(경종 1)
본관
풍천(豊川, 지금의 황해도 송화)
주요 관직
교리|정언|승지
정의
조선 후기에, 이조좌랑, 교리, 수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용여(用汝), 호는 돈와(遯窩). 임선백(任善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임중(任重)이고, 아버지는 우참찬 임상원(任相元)이며, 어머니는 정식(鄭植)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90년(숙종 16)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694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곧 설서가 되었고, 정언을 거쳐 1699년 이만성(李晩成) 등 8인과 함께 홍문록(弘文錄: 홍문관의 제학이나 교리(敎理)를 선발하기 위한 제1차 인사기록)에 올랐다.

그 뒤 수찬·교리·정언·부수찬 등을 번갈아 역임하다가 1703년 당쟁의 폐단과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일시 향리에 은거하였다. 곧 재기용되어 지평이 되었고, 1707년 사직으로 문신중시(文臣重試)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이조좌랑 겸 문학·교리·수찬 등을 역임하다가 1709년 사가독서(賜暇讀書: 문흥을 일으키기 위하여 유능한 젊은 관료들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에만 전념케 하던 제도)를 하였다. 다음해에 통신부사가 되어 일본에 파견되었으나 대마도주의 간계에 속아 투옥, 파직되었다.

1720년에 재기용되어 승지에 올랐다. 그는 경사(經史)에 밝았으며 음률(音律)·상수(象數)·병법(兵法)·지리 등에도 해박하였다. 저서로 『돈와유집』이 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경종실록(景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청선고(淸選考)』
『전고대방(典故大方)』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