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산도들노래 (들노래)

목차
관련 정보
국악
작품
국가유산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공수리(公需里)에 전승하는 논농사 노래.
시도무형유산
지정 명칭
장산도들노래(長山島들노래)
분류
무형유산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무형유산(1988년 12월 21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신안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공수리(公需里)에 전승하는 논농사 노래.
내용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공수리(公需里)에 전승하는 논농사 노래. 1988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1988년 12월에 지정되었다. 장산도 들노래는 공수1리 마초마을의 섬 여자들이 논 일을 하면서 불렀던 것으로 모찔 때의 ① ‘머헤요’와 ② 무었네, ③ 모심는 소리, 논맬 때의 ④ ‘난지나’와 ⑤ 자진 논맴소리 및 ⑥ 길꼬내기로 구성된다.

1981년도에 전남의 남도문화제에 참가하여 최고상을, 1982년의 제23회 전국 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종합우수상인 국무총리상을, 1987년도 남도문화재 민요 부문에서는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예능보유자 강부자(姜富子:1944년 진도군 의신면 금감리 출생. 1964년경에 마초로 시집옴)는 시어머니한테서 들노래를 배웠다.

①∼③과 ⑥은 메기고 받는 방법으로 부르며, ④도 이에 준한다. ⑤는 제창된다. ①은 메김소리(메)와 받음소리(받)가 각각 3분박 6박 2마디씩이되, (받)은 둘째마디의 6박째에 (메)가 미리 들어오던 것이 굳어져 실제는 5박으로 부른다.

②는 (메)와 (받)이 각각 3분박 4박 1마디, ③은 2마디씩이다. ①과 ②는 영산강유역을 본고장으로 하는 모찌는 소리 먼들류의 변형이다. ③은 상사의 ‘상’이 생략된 나주형 상사에 가깝다.

④의 (받)은 3분박 3박 7마디씩이고 (메)는 8마디씩이되, 마지막 마디는 1박이 부족하다. ⑤는 서두를 느린 속도로 부르고 a의 끝을 길게 끈다. b는 8분의 6박 7마디씩이며 그 제1·4∼7 마디의 노래말은 고정구이다.

⑥의 (받)a 와 (메)의 a · c는 3분박 5박, (받)b와 (메)d는 3분박 6박, (메)b는 3분박 4박이다. 가사 예는 아래와 같다.

① (받):아 아-아 아하아 하 라 아-아/ 머, 헤 헤-에 에헤에 요/

(메):이여 차 -하 뒤히 여허 차/ 아-라 가라- 하-앙 워나 내 세//

② (받):어 여-라 무었- 네 / (메):이논- 빼미를 무어- 다가- /

③ (받):에 헤 야 로 / 사 하 뒤야- 요// (메):앞-산-은- 점 점/ 멀 어나- 지 고//

④ (후렴):허이고 난-지 나-하/ 헤 - - , / 허이고 난-지 나-하/ 헤 - - , /

난지나 난지나 지난달/ 상-사 뒤로- 고 / 나 - - //

(본문):개-헤 사-아 가게-/ - 헤-에 헤에헤/ 개 사, 아아하/ 가-하 게-헤 헤, /

돈 닷 - /도 온-에 개-헤/ 개를- 사가- 게 / -헤 헤, /

⑤ a.(오동- 추 야 - - - ) b.헤헤 헤헤 헤야/ (오동 추 야 달은 밝 고 -/ 임의 생각 이 절로 난 다)/ 헤헤 헤헤 헤야/ 얼 싸 좋 다 잔소 -리/ 고 나 자네 어 째 못/ 하 던가 - - - , //

⑥ (받):a.에 - - 히여- 히여라 b.아이고 것-네 농사- 야 에헤 야, //

(메):a.언덕-뻔덕, b.저 금비네 꼭 지, c.담 장 - 넘에- 넘에서 d.아이고- 날속이 낸 다-하 헤헤- 야, //

참고문헌

『한국의 농』요3(이소라, 민속원, 198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