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심사 ()

목차
관련 정보
국악
작품
고려속요.
목차
정의
고려속요.
내용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전하는 노래이다. 이 곡 끝에 두 번 반복되는 궁루촉수연연(宮漏促水涓涓)나의 가락은 같은 고려시대의 곡인 「풍입송(風入松)」 곡조의 끝에서 반복되는 위보성수만세(爲報聖壽萬歲)야의 가락과 동일하다.

『고려사』 악지에 의하면 「풍입송」은 송도(頌禱)의 뜻이 있고, 「야심사」는 군신이 서로 즐기는 뜻이 있는데, 모두 잔치를 끝낼 때 노래하였다고 한다. 「풍입송」과 같은 시대의 음악일 뿐만 아니라, 평조(平調) 선법에 의한 그 음악도 서로 관련이 있다.

또, 어숙권(魚叔權)의 『패관잡기(稗官雜記)』에 김안국(金安國)이 당시 72세 된 경기(京妓) 상림춘(上林春)이 거문고를 타는 「야심사」를 듣고 국수(國手)로서 절찬한 내용의 절구가 소개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야심사」는 조선 중기까지 널리 애창(愛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가사는 다음과 같다.

풍광난(風光暖) 풍광난(風光暖) 향춘천(向春天)

상원가절설화연(上元佳節設華筵)

등잔월낙하군선(燈殘月落下群仙)

궁루촉수연연(宮漏促水涓涓)나

궁루촉수연연(宮漏促水涓涓)나

지금은 그 악보만 전할 뿐, 음악은 전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패관잡기(稗官雜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