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녕 ()

목차
관련 정보
국악
작품
현행 종묘제례악 중 초헌례에 연주되는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의 다섯번째 곡으로 제4변(第四變).
목차
정의
현행 종묘제례악 중 초헌례에 연주되는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의 다섯번째 곡으로 제4변(第四變).
내용

일무(佾舞)는 문무(文舞)가 추어지고, 등가(登歌)에서 음악을 아뢴다. 원래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제된 보태평지악의 제4변은 「보예(保乂)」였으나, 세조 때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면서 곡명이 「집녕」으로 바뀌었고 음악이 축소되었다.

쌍성(雙城)에서 환조(桓祖)의 덕을 노래한 것으로 노래말은 원래 4언10구의 한시였으나 세조 때 8구로 축소되었다. 곡명은 노래말 중 ‘성환집녕(聖桓輯寧)’에서 따온 것이다. 노래말 내용은 다음과 같다.

쌍성 고을이 멀리 떨어져 있어 이를 천부라고 불렀에라(雙城澶漫 曰維天府).

관리가 직책을 다하지 않아서 백성들 안도한 날을 보내지 못했거늘(吏之不職 民未安堵),

거룩하신 환조께서 화기롭게 편안케 하시니 유리하던 백성들 마침내 부업했도다(聖桓輯寧 流離卒復).

천제의 총애받은 명이 이에 부하되어 크게 그 복이 세워졌도다(寵命是荷 封建厥福).

원래의 임종궁평조(林鐘宮平調)에서 황종궁평조(黃鐘宮平調)로 바뀐 5음 음계의 곡이다. 박(拍)은 노래말 매구에 한번씩 들어갔고, 장구형은 크게 박 넷이 하나를 이루어 반복하였으나 현행은 모두 불규칙적이다.

종지형은 하일(下一)에서 하오(下五)에 이르는 하행종지형이다. 세조 때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면서 「보예」의 제4행 불완전종지의 음악이 완전종지로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세종실록』악보에 「보예」가, 『세조실록』악보와 『대악후보』·『속악원보』·『시용무보』 등에 「집녕」이 악보로 전한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악보
『세조실록(世祖實錄)』악보
『대악후보(大樂後譜)』
『속악원보(俗樂源譜)』
『시용무보(時用舞譜)』
『한국음악』 2(국립국악원, 1981)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의 음악적 고찰(音樂的考察)」(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집필자
변미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