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감 ()

목차
의약학
제도
조선시대 궁중에서 쓰는 의약의 공급과 임금이 하사하는 의약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
목차
정의
조선시대 궁중에서 쓰는 의약의 공급과 임금이 하사하는 의약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
내용

의학교육과 의학취재(醫學取才: 의학실력을 시험하여 사람을 뽑음) 등의 사무도 겸하여 관장하였다.

고려시대에는 태의감(太醫監)·사의서(司醫署)·전의시(典醫寺) 등으로 명칭이 변화되어오다가 조선 건국 초 관제개혁에 의하여 전의감으로 개칭되었다. 서울 중부 견평방(堅平坊: 지금의 종로구 견지동)에 위치하였다.

전의감은 의료행정 및 의학교육의 중추기관으로서 왕실과 조관(朝官)들의 진시(診視: 진찰)와 화제(和劑: 약의 조제) 및 약재의 종식(種植: 약재를 키움), 의학취재 등의 일을 겸하였다.

조선 초기의 관원은 판사·감(監)·소감·승(丞)·주부·겸주부·직장·박사를 각 2인, 검약(檢藥) 4인, 조교 2인을 두었다. 그 뒤 몇 차례의 관제개혁을 거쳐 1466년(세조 12)의 개혁 때에는 검약을 부봉사로, 조교를 참봉으로 고치고 겸정(兼正)·직장을 각각 1인씩 없애고, 판관 1인을 증원했다.

『경국대전』에는 정(正)·부정·첨정·판관·주부 각 1인, 의학교수·직장·봉사 각 2인, 부봉사·의학훈도 각 1인, 참봉 5인으로 관원을 정하여 인원을 축소하였다. 『속대전』에 의하면 부정을 없애고 의학교수, 봉사는 각 1인씩, 부봉사는 2인, 참봉은 3인을 감원하여 그 기구를 축소하였다.

그러나 1867년(고종 4) 편찬된 『육전조례(六典條例)』에 의하면 치종교수(治腫敎授) 1인, 침의 3인, 부사과 1인을 증원하였다. 그리고 이례(吏隷)로서 서원(書員)·고직(庫直)·대고직 각 1인, 사령 5인, 구종(驅從: 관리의 하인)·군사 각 2인을 두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전의감에는 제조 2인을 두고, 취재(取才) 때는 분수(分數)가 많은 사람을 뽑았다. 판관 한 사람은 구임(久任)으로 하고, 구임과 교수, 훈도를 제외한 관원은 체아직(遞兒職: 현직을 떠난 문무관에게 특별한 경우에 주는 벼슬)으로 1년에 두 차례 도목(都目: 관리의 공과를 평정하여 승진 또는 출척시키는 인사행정)한다. 취재시에 차점자는 외임(外任)으로 차출하고, 주부 이상의 관원은 과거에 합격한 사람으로 임명하며,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은 세조 때 15인에서 30인으로 증원하였다.

1894년 갑오경장에 의하여 전의감은 태의원(太醫院)으로 개칭되었으며, 서양의술이 보급되면서 그 역할이 감소되어갔다.

참고문헌

『태조실록(太祖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육전조례(六典條例)』
집필자
김신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