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팔기념재단 ()

사회구조
단체
1994년 8월 30일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기리고 진상조사 및 추모 등의 관련 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출범한 비영리 재단법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94년 8월 30일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기리고 진상조사 및 추모 등의 관련 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출범한 비영리 재단법인.
설립목적 및 연원

1994년 8월 30일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하고 5·18 민중항쟁의 진상조사, 기념 및 추모행사, 학술문화사업, 사회봉사 등의 활동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출범에 이르기까지 많은 갈등과 분열을 겪었지만 5·18기념재단은 개별적으로 활동하던 5월단체들을 통합하여 대표성을 획득했고, 광주시민들의 성금과 5·18관련 피해자들이 정부로부터 받은 보상금의 일부를 출연해 3억 3천만원의 활동재원을 마련했다. 출범 당시 조비오 이사장을 비롯해 김대중, 김상현, 정상용 등 정회원 182명과 미국과 캐나다 등에 거주하는 명예회원 208명이 참여했다. 소재지는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동 1268번지 5·18기념문화센터이다.

활동사항

주요활동으로 매년 열리는 5·18민중항쟁 기념행사 외에도 5·18학살책임자에 대한 고소·고발 운동(1994년), 5·18학살 책임자 처벌 특별법 제정을 위한 범국민 서명운동 전개(1995년), 광주인권상 제정(2000년), 광주국제평화캠프 및 5·18아카데미 개설(2004년), 광주아시아인권학교 개최(2005년) 등이 있었다. 이 밖에도 국내외 민주 인권단체와의 연대 사업과 장학 및 자선사업 등을 추진해왔다. 2003년부터는 재단 소식지인 『주먹밥』을 발행하고 있다.

재단의 조직은 크게 이사회, 후원회, 감사로 구성되며 이사회 아래에 사무처장을 두어 총무기획팀, 교류지원팀, 학술교육팀을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이사회는 출범 당시에는 31명의 이사진으로 구성되었으나 1999년 2월부터는 15인 법정이사 체제로 전환되었다.

참고문헌

「인터뷰 / 5ㆍ18기념재단 초대이사장 조비오 신부」(이기봉,『월간 사회평론 길』94, 1994)
5·18기념재단(www.518.org)
집필자
김태승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