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희 ()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지리산의 봄』, 『저 무덤에 푸른 잔디』, 『아름다운 사람 하나』 등을 저술한 시인.
이칭
이칭
고성애(본명)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48년
사망 연도
1991년
출생지
전라남도 해남
정의
해방 이후 『지리산의 봄』, 『저 무덤에 푸른 잔디』, 『아름다운 사람 하나』 등을 저술한 시인.
개설

1975년『현대시학』에 「연가」, 「부활 그 이후」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한 고정희는 타계하는 해인 1991년까지 모두 열 권의 시집을 상재한 시인이다. 첫 시집 『누가 홀로 술틀을 밟고 있는가』(1979) 이후 『실락원 기행』(1981), 『초혼제』(1983), 『지리산의 봄』(1987), 『저 무덤에 푸른 잔디』(1989), 『아름다운 사람 하나』(1990) 등으로 그는 지칠 줄 모르는 창작 여정을 보여주었다. 그는 시를 통해 어떤 가혹한 억압 상황에서도 절망하지 않는 의지와 생명에 대한 끝없는 사랑을 형상화하였다. 특히 5·18광주민주화운동을 계기로 하여 전통적 남도가락과 씻김굿 형식을 빌려 당대 민중의 아픔을 드러내고 위안하는 장시 형식을 잇달아 발표함으로써 새로운 양식적 자각도 보여주었다. 자신의 시의 모체가 되어온 지리산 등반 도중 실족으로 타계하였다. 유고 시집으로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뒤에 여백을 남긴다』(1992)가 있다.

생애 및 활동 사항

전라남도 해남에서 5남 3녀의 장녀로 태어났다. 한국신학대학을 졸업하였으며 1975년 『현대시학』 추천으로 등단하였다. 『전남일보』 기자와 광주 YWCA 대학생부 간사 그리고 크리스천아카데미 출판부 책임간사와 가정법률상담소 출판부장을 역임하였고, 『여성신문』 초대 편집주간으로 일했다. 고정희는 한국신학대학의 모토인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자유, 사랑, 정의 실천의 정신으로 대학생 문화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초기 여성운동에도 혁혁한 족적을 남겼는데, 남녀노소가 서로 평등하고 자유롭게 어울려 사는 대안 사회를 모색한 여성주의 공동체 모임 '또 하나의 문화' 동인으로 참여하여 중추적 역할을 감당하였다. 그런 이력이 토대가 되어 『여성신문』 초대 편집주간을 맡아보았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그는 시인이었다. 그는 시와 여성주의를 결속한 독자적 시세계를 보여주었고, 여성의 시선과 경험으로 여성만의 역사성과 사회성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였다. 결국 그는 자유 의지를 바탕으로 한 실존적 고통을 승인하면서, 메시아니즘을 핵심으로 하는 앙가주망의 시학을 펼쳤고, 내면 성찰과 남은 자의 그리움을 표상하는 시세계를 남겼다. 거기에 여성으로서의 경험과 시선이 결합하였다. 물론 그가 내놓은 열 권의 시집은 제각기 조금씩 다른 양식과 정조를 가지고 있지만 그것들이 이러한 성격 규정과 배치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 모든 것은 기독교 정신 또는 이념이라는 것이 편협한 종교 도식이 아니라 넓은 현실의 세계를 면밀하게 살펴내는 적극적 인식의 한 패러다임임을 시사하는 훌륭한 예증이라 할 것이다. 이렇게 의미 있는 시적인 족적을 남긴 그는 생애 마지막 작품을 다음과 같은 시로 남기고 갔다. "사십대 문턱에 들어서면/바라볼 시간이 많지 않다는 것을 안다/기다릴 인연이 많지 않다는 것을 안다/아니, 와 있는 인연들을 조심스레 접어두고/보속의 거울을 닦아야 한다."(「사십대」) 마치 죽음을 예견이라도 한 듯한 이 작품은, 사랑과 성찰의 모습이 잔잔하게 다가오는 시편이다.

의의와 평가

고정희는 1975년 『현대시학』을 통해 문단에 나온 이래 15년간 『실락원 기행』, 『초혼제』, 『지리산의 봄』, 『저 무덤 위의 푸른 잔디』,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여백을 남긴다』 등 모두 열 권의 시집을 발표하였다. 고정희의 시세계는 기독교적 세계관의 지상 실현을 꿈꾸는 노래로부터 민중에 대한 치열한 사랑과 관심, 여성주의적 시선과 경험에 입각한 선구자적 작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탐구의 편폭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모든 시편에서 목숨 있는 존재들에 대한 사랑을 적극적으로 노래하였다. 전통적 남도 가락과 씻김굿 형식을 빌려와 민중의 고난과 저항의 모습을 형상화하기도 한 그는 자유, 민족, 민중, 그리고 여성의 해방을 위해 노력한 시인이다. 1980년대 이후 폭발적으로 나타난 페미니즘 운동의 선구자였고, 민중적 관점에서 시를 지속적으로 쓴 시인이었으며, 기독교 정신의 시적 형상화에서도 선구적 업적을 남겼다. 애상과 연성을 위주로 씌어졌던 한국 여성시 계보에 굵은 목소리와 강인한 의지를 이채롭게 던진 몫도 기억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고정희론」(송현호, 『한국 현대시 연구』, 민음사, 1989)
「연시와 통속성의 문제」(박혜경, 『한길문학』 1991. 봄)
「고정희 시에 나타난 종교의식과 현실인식」(유성호, 『한국문예비평연구』 1집,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997)
집필자
유성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